커지는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시장…전은갑 "中 법안 벤치마킹 필요"

전병윤 "국내 관련 플랫폼 전무…정부 지원 속 시범 사업 시행해야"

2023-11-17     고지혜 기자
서경환 한국광해광업공단 핵심광물대응처장이 17일 세빛섬에서 열린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산업현황과 발전방향 세미나'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전기차산업협회)

[뉴스웍스=고지혜 기자] 전기차 시장 커지면서 쏟아져 나오는 '사용후 배터리'가 화두로 떠올랐다. 전 세계적으로 배터리 광물 추출·수급이 갈수록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광물을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사용후 배터리는 70~80% 잔존가치로, 재사용이나 재활용하면 새 배터리로 재탄생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사용후 배터리 재활용 시장은 전기차 시장만큼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다.

SNE리서치는 전 세계 폐배터리 재활용시장에 대해 오는 2025년 38조원, 2030년 68조원, 2040년 221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용후 배터리와 전기차 전후방 산업의 발전방향에 대해 깊이있는 논의를 위해 한국전기차산업협회는 17일 한강 세빛섬에서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산업현황과 발전방향 세미나'를 열었다.

박재홍 한국전기차산업협회 협회장 겸 피엠그로우 대표는 환영사를 통해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의 재사용·재활용은 소비 방식의 혁신과 환경오염 해결책 제시로 관련 산업의 순환경제 전환에 기여하는 기술"이라고 강조했다. 

'사용후 배터리 활용 및 대응'에 대해 발표한 전은갑 한국자동차부품소재산업기술연구조합 기술실장은 "중국이 한국보다 빨리 전기차 시장을 구축하면서 사용후 배터리에 대한 법안들이 이미 안정화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미 2020년 초부터 전기차 고도화 상태였던 중국은 2021년부터 사용후 배터리에 대한 방안을 구축하고 있다. 생산자에 대한 재활용책임제도, 6대 중점과제 개정, 재활용 국가표준 제정 등이 있다. 이러한 정부 정책에 중국 내에만 4만곳 이상의 재활용 기업이 등록돼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은갑 기술실장은 "중국의 법안 등을 벤치마킹해서 국내 사용후 배터리 정책에 적용했으면 좋겠다"며 "특히 사용후 배터리 판단 기준이 정확하게 마련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 "현재 배터리 성능이나 용량을 높이는 분야에 대해서만 연구개발(R&D)되고 있는 데, 사용후 배터리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발표를 마무리했다. 

전병윤 한국전기차산업협회 전무가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산업현황과 발전방향 세미나'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전기차산업협회)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유통과 해결 과제'에 대해 발표한 전병윤 한국전기차산업협회 전무는 "그동안 마련돼 있는 법들은 의무사용 배터리에 대한 내용, 사용후 배터리에 대한 민간 거래 부분은 아직 미비한 부분이 많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내 사용후 배터리 관련 플랫폼은 전무하다. 정부의 지원 속에서 관련 시범 사업을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경환 한국광해광업공단 핵심광물대응처장은 "폐자원 폐기 유출 방지하기 위해 재자원화 순한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며 "재자원화를 위한 정제련·소재 융복합 클러스터를 조성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피엠그로우와 파라메타가 공동으로 진행한 전기차 배터리 잔존수명 인증서비스 '와트에버'를 소개하는 시간도 마련됐다. 

와트에버는 데이터 수집장치 와트박스를 활용해 전기차 상태정보, 배터리 상태정보, 충전 정보 등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민간 서비스다. 발급받은 인증서를 통해 배터리 상태와 관련된 보험상품, 전기차 중고거래, 정비 서비스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이정훈 파라메타 이사는 "과기정통부와 KISA가 추진하는 ‘2023년 블록체인 민간분야 집중사업’에 선정되어 진행하게 된 이번 서비스가 배터리 데이터, 평가와 관련된 사업에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