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 당국 "화성공장 폭발 가능성 낮아 물로 진압…백색섬광·고온 위험 여전"
[뉴스웍스=백종훈 기자] 경기도 화성시 일차전지 화재 사고 현장에 폭발위험이 있지만 극소량의 리튬만 포함되어 있어 물을 사용해 불을 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일부 금속이 물과 반응할 경우 격렬히 폭발할 수 있어 매우 어렵게 진화작업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소방 당국은 재난현장 표준작전절차(SOP) 절차에 따라 24일 오전 경기도 화성 일차전지 제조업체 아리셀 공장에서 발생한 화재에 대응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고는 금속 화재 특성상 폭발의 우려가 있어 진압이 지연됐다. 다만 당국은 이번 화재에서는 일차전지에 폭발 위험이 있는 리튬이 극소량만 포함돼 있어 다른 일반적인 화재처럼 물을 사용해 불을 진화했다.
아리셀은 리튬 일차전지를 제조·판매하는 것을 주력 사업으로 하는 업체다.
참고로 리튬과 같은 알칼리 금속 등 가연성 금속이 원인인 '금속 화재'는 백색 섬광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진압이 완료된 것처럼 보이더라도 1000도 이상의 고온을 보여 위험하다.
특히 금속 분말로 인한 분진 폭발의 가능성이 있고, 일부 금속은 물과 반응할 시 발열반응에 의해 격렬히 폭발할 수 있어 진화가 매우 어렵고 위험하다.
나용운 국립소방연구원 연구사는 "일차전지는 충전할 수 없어 완충된 상태로 제조되기 때문에 에너지가 가득 차 있어 화재 시 위험성이나 폭발의 가능성이 이차전지보다 더 크다"며 "리튬 등 금속 분말이 물에 닿게 되면 폭발적으로 반응하는 것은 맞지만, 전지에는 리튬이 극소량만 들어갔기 때문에 물을 뿌려도 그런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공장에서 확인된 배터리는 리튬분말을 사용한 것이 아니고 리튬이 포함된 전액이 적셔진 종이 형태로 말려져 있는 것"이라며 "물의 밀도를 200kg로 보면 리튬은 5kg 정도라 폭발 가능성은 매우 낮고, 실제로도 폭발이 일어나지 않았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이번 사고에 대응해 행안부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비상 1단계를 가동하고, 고용노동부는 중앙산업재해수습본부(중산본)를 꾸렸다.
환경부는 화학사고 위기 경보 '관심' 단계를 발령하고 염소와 황산화물 등 유해화학물질 발생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