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사랑카드 입찰 전초전 된 군인공제회 주거래 계약

5년 운영권 사업자 내달 선정 신한은행 선점 속 경쟁사 도전 나라사랑카드 사업 유지 관건

2024-08-09     차진형 기자
(사진=군인공제회 페이스북)

[뉴스웍스=차진형 기자] 군인공제회 주거래은행 입찰을 놓고 시중은행 간 눈치싸움이 치열하다.

군인공제회의 운영자금도 많지만, 앞으로 있을 나라사랑카드 입찰에서도 우위에 설 수 있어 사실상 전초전 양상을 띤다.

9일 업계에 따르면 군인공제회는 주거래은행 선정을 위한 입찰 공고를 냈다.

앞서 열린 사업설명회는 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등 주요 은행이 참여해 사업 참가를 희망한 상황이다.

참가 신청서 및 제안서는 9월 3일까지다. 이후 같은 달 6일 신청 은행을 대상으로 사업발표 및 평가를 통해 우선협상자를 선정한다.

군인공제회는 군인과 군무원을 위한 생활 안정과 복지증진을 위해 설립됐다. 현재 총자산은 지난해 말 기준 17조5538억원, 회원 수는 17만5393명에 달한다. 

주거래은행은 15년 동안 신한은행이 맡고 있다. 2010년 1기 사업자로 선정돼 3회 연속 선정된 결과다.

신한은행이 경쟁 은행에 비해 경험과 노하우 면에서 앞서 있지만, 올해만큼은 분위기가 남다르다.

하반기 200만 장병을 고객으로 유치할 수 있는 나라사랑카드 사업자 재선정이 예정돼 있어 군인공제회 주거래은행 입찰 경쟁은 예비고사 같은 느낌이다.

나라사랑카드 사업은 군인공제회C&C가 발급·운영 업무를 위탁받아 진행해 왔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신한은행이 발급 업무를 담당했고 2016년부터 오는 2025년까지 국민은행과 기업은행이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군인공제회와 관계가 나라사랑카드 사업자 선정에도 우위에 설 수 있단 계산이다.

다만, 변수는 있다. 국방부가 올해 나라사랑카드 운영대행사를 공개 입찰로 바꾸면서 군인공제회가 사업을 계속 유지할 수 있을지 관심거리다.

업계 관계자는 "국방부가 나라사랑카드 운영대행사를 바꾸려는 배경은 감사원 지적 때문"이라며 "그러나 민간 IT 기업에게 맡겼을 경우 군 정보 유출 위험도 큰 만큼 운영대행사를 바꾸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