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달러·코인 휩쓴 트럼프 트레이드…미국 중심 금융시장 요동
역풍 맞은 코스피…신저가 일주일 새 2배 이상 늘어 관세 폭탄 준비 중인 트럼프…글로벌 증시도 엇갈려
[뉴스웍스=차진형 기자]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캐치프레이즈인 '마가(MAGA)'가 금융시장을 휩쓸고 있다.
마가는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ke America Great Again)의 알파벳 머리글자를 딴 용어인데 앞으로 내놓을 정책들이 금융시장에 선반영되고 있다.
◆美 증시·비트코인 역대 최고치 경신
12일 뉴욕 다우지수는 4만4000선을 돌파했다. 스탠다드앤드푸어스 500지수도 6000선을, 나스닥 지수 역시 1만9298.76을 기록했다. 모두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운 무서운 상승세다.
트럼프가 공개 지지한 비트코인 가격도 일주일 동안 20% 가까이 상승하며 8만1000달러를 돌파했다.
미국 주식시장과 코인 시장이 들썩이는 이유는 트럼프 당선 때문이다. 앞으로 내놓을 정책들이 미국 중심의 경제 활성화에 초점이 모이면서 투자 심리가 자극받고 있다.
주말 사이 미 하원에서 공화당 확보 의석수가 증가한 것도 트럼프 2기 행정부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이에 따라 트럼프 2기에 맞춘 수혜주가 급등하고 있다.
테슬라는 트럼프 당선 이후 4거래일 동안 39% 이상 상승했고 JP모건, 뱅크오브아메리카, 모건스탠리 등 금융주 역시 강세를 보이고 있다. 경기소비재 1.8%, 산업재 0.8% 등 트럼프 랠리 효과도 뚜렷하다.
비트코인도 규제 완화 소식으로 상승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앞서 트럼프는 "미국 정부가 갖고 있거나 미래에 취득할 비트코인을 100% 전량 보유하는 게 행정부 정책이 될 것"이라고 공언한 바 있다.
공화당도 이에 맞춘 법안을 내놨다. 신시아 루미스 상원의원은 8월 미 연준이 비트코인을 준비자산으로 삼고 5년 동안 100만개를 매입해 20년 동안 보유한다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했다.
◆미국만 좋은 일…강달러 韓 불안 요인
미국 주식시장은 역대 호황을 맞이하고 있지만 국내는 암울하다. 이미 환율은 1400원대를 넘어섰고, 외화자금 유출이 시작됐다.
1400원 환율은 과거 1997년 외환위기 당시 환율이다. 당시에는 고환율로 인해 대기업의 유동성 자금이 부족한 탓도 있지만 트라우마는 아직 남아있다.
실제 외국인의 투자금이 빠지고 있어 근심은 깊어지고 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10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금은 1억2000만 달러 순유출됐다. 이전까지 10개월 연속 순유입이 지속됐지만 달러 강세로 인해 한국 금융시장을 떠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외국인 이탈로 국내 주식시장도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11일 기준 코스피 신저가 종목 수는 105개로 10월 말 44개에서 2배 이상 증가했다.
국내 증시 소외 원인 중 하나였던 금융투자소득세가 지난 4일 민주당 결정으로 폐지가 유력해졌음에도 불구하고 반등 동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미국 증시와 다르게 국내 주식시장이 부진한 이유는 3분기 실적 시즌 실망감, 특정 업종 내 유상증자 이슈가 맞물리면서 국내 투자자에게도 소외당하고 있다.
◆글로벌 증시도 트럼프에 동조…친미 성향 뚜렷
글로벌 주식시장도 요동치고 있다. 유럽은 상승세를 기록한 반면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중국 주식시장은 하락장을 보이고 있다.
독일 DAX지수는 1.35%, 영국 FTSE지수 0.62%, 범유럽지수 STOXX600은 1.18% 올랐다. 반면 홍콩 항셍지수는 1.54% 하락 중이고 중국 상해종합지수도 0.46% 떨어지고 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선보일 관세정책 영향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당선인은 관세율 인상 정책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는 모든 수입품에 10~20%의 보편적 관세를, 중국산 제품에는 60%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언했다.
이에 따라 러시아, 동남아, 동아시아, 유럽 신흥국들의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되며 캐나다, 유럽은 타격이 상대적으로 덜 할 전망이다.
중국은 트럼프 2기 행정부에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 부양책을 발표했지만 구체적인 재정 지출 규모나 기대를 모았던 특별 국채 발행이 없었다는 점에서 실망감을 안기고 있다.
일각에선 트럼프 당선인이 대중 관세 폭탄을 준비하고 있는 만큼 구체적인 내용이 확인될 때까지 부양책을 아껴둔 것이란 해석도 있다.
이에 중국은 내년도 경제성장률을 포함한 경제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12월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국채 발행 등을 확정하고 내년 3월 전인대에서 이를 승인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