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우리은행 정기검사서 추가 부당대출 확인"
내달 우리금융·우리은행 종합검사 결과 발표 은행장 교체에도 현 회장 총괄 책임 거론해
[뉴스웍스=차진형 기자] 이복현 금감원장이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에 대한 압박수위를 높였다.
우리은행에 대한 종합검사에서 추가 부당대출이 임종룡 회장 재직 시절에도 발견됐다는 것이다. 해당 대출 건에 대해선 손태승 전 회장과 관련이 있는지 밝히지 않았다.
이 원장은 28일 기자들과 만나 "우리금융지주 관련 전 회장 불법대출 검사를 진행 중인데 임종룡 회장, 조병규 은행장 재임 기간에도 유사한 불법 대출이 발견됐다"며 "불법이나 비리에 대해선 무관용 원칙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관련 대출사고와 관련해 이사회에 보고가 됐는지, 이사회 통제기능이 작동했는지를 따져 보겠다"며 "12월 중 우리금융·우리은행에 대한 종합검사 결과를 발표하겠다"고 덧붙였다.
결국 현재 내부통제 책임을 현 경영진까지 확대하겠단 의지를 드러낸 셈이다.
이복현 원장은 금융지주 이사회 의장과 만남 자리에서도 내부통제 강화를 요구했다.
이 원장은 "책무구조도 시행으로 지주 회장이 그룹 전체 내부통제의 총괄책임자로서 자회사 내부통제의 작동 여부까지 면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 "내부통제의 실효적 작동을 위해 지주 회장이 책임 의식을 가지고 총괄책임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이사회에서 적극적인 감시와 견제 역할을 해줄 것을 당부 드린다"고 말했다.
즉, 우리은행에서 발생한 부당대출과 관련해 전·현 경영진 모두 책임이 있다는 해석이다.
일단 조병규 우리은행장은 지난 26일 자리에서 물러날 의사를 밝혔다. 이에 따라 손태승 전 회장에 대한 조직쇄신이 마무리되는 수순을 밟고 있었다.
하지만 이 원장의 작심 발언으로 우리금융지주에 대한 긴장감은 다시 높아졌다. 사실상 이번 책임을 물어야 할 대상으로 임종룡 현 회장을 지목한 꼴이 됐다.
다만 종합검사 이후 징계 대상에 올라도 강한 제재 수위를 내릴 수 있을지 의문이다. 금감원은 내년 책무구조도 시행에 앞서 조기 실행 계획안을 제출한 은행에게 인센티브를 부여하기로 약속했다.
인센티브는 시범운영기간 중에는 내부통제 관리의무 등이 완벽하게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도 지배구조법에 따른 책임을 묻지 않는다.
또 책무구조도에 기반한 내부통제 관리체계의 시범운영을 하는 과정에서 소속 임직원의 법령위반 등을 자체 적발, 시정한 경우 관련 제재 조치에 대해서는 감경 또는 면제한다.
결국 금감원이 우리금융·우리은행 종합검사에 따라 임종룡 회장에게 징계를 물어도 감경될 가능성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