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미 카터 전 美대통령 별세…재선 실패뒤 봉사 활동 통해 재평가

2024-12-30     문병도 기자
(사진=카터 센터 홈페이지 캡처)

[뉴스웍스=문병도 기자] 미국의 39대 대통령을 지낸 지미 카터(본명 제임스 얼 카터)가 29일 오후 3시 45분쯤 100세의 나이로 별세했다고 그의 고향인 조지아주지역 언론들이 보도했다.

역대 미 대통령 중 가장 장수한 카터는 지난해 2월부터 자택에서 호스피스 간호에 들어간 상태였다.

카터는 1924년 10월 조지아의 작은 마을인 플레인스에서 농부이자 사업가인 부친, 간호사인 모친 사이 4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해군사관학교 졸업 후 장교로 임관해 해군 잠수함 부대에서 복무했다. 1953년 부친이 암으로 사망하면서 전역 후 조지아로 돌아와 부친이 운영하던 땅콩 농장과 농기구 등을 취급하는 상회를 물려받아 운영했다.

이후 교육위원에 출마하며 정치에 입문했고, 1970년 조지아 주지사에 선출됐다. 성공적으로 4년 임기를 마친 카터는 1976년 11월 대선에서 민주당 후보로 출마해 공화당 소속 제럴드 포드 대통령을 꺾고 당선됐다. 출마 당시 유권자의 2%만 그의 이름을 알았을 정도로 무명에 가까웠고 정치 경력도 일천했지만, 기성 정치에 대한 국민들의 환멸이 카터를 대통령으로 만들었다.

베트남 전쟁과 '워터게이트' 사건 직후 집권한 카터는 서민적인 이미지를 앞세웠다.

카터는 1977~1981년 대통령 재임 중 주한미군 철수를 압박해 당시 한미동맹이 심하게 흔들렸다.

외교 노선에서도 인권, 도덕 같은 가치를 강조했다. 재임 당시 대외 악재가 줄을 이으며 고전했다. 임기 말에는 2차 오일 쇼크, 이란의 미 대사관 인질 사건,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사태 등을 겪으며 지지율이 급락했다. 결국 1980년 대선에서 레이건에게 패배하며 역대 대통령 중 처음으로 재선에 실패한 인물이 됐다.

실업, 물가 상승 같은 경제 문제에 대외 악재까지 겹치며 현직 시절에는 인기가 없었지만 퇴임 후 봉사 활동 등을 통해 재평가를 받았다. 1994년 1차 북핵 위기 때 미·북 사이의 중재자로 나섰고 평양과 서울을 오가며 김영삼 대통령과 김일성 간 만남을 도모하기도 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