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국적항공사 CEO 긴급대책회의…"FDR 내주 美 이송"
[뉴스웍스/세종=정승양 대기자] 정부가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참사 재발방지를 위해 국적 항공사의 안전강화 대책을 일제히 점검한다. 사고 기종인 보잉 737-800 총 101대를 운영하는 국내 항공사에 대한 점검 기간도 일주일 연장한다.
국토교통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3일 오전 국적 항공사 11곳과 긴급안전대책 회의를 열었다. 회의에는 제주항공은 물론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11곳 항공사의 최고경영자(CEO)가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이들 항공사가 자체적으로 수립한 안전강화 대책을 점검했다. 이번 사고 이후 국토부가 각 항공사에 내린 특별안전 강화 지시의 후속 조치다.
중수본은 각 항공사의 안전강화 대책과 이행 실태에 따라 특별 점검을 실시하도록 할 계획이다. 아울러 사고 기종인 B737-800 총 101대를 운용하는 국내 항공사 6곳에 대한 점검 기간을 오는 10일까지 일주일 연장했다.
이번 사고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엔진과 랜딩기어의 고장 기록을 들여다보는 것 외에도 정비시간 준수와 적절한 정비 부품을 사용했는지 등 B737-800 기종의 운용 실태에 대한 전방위 점검을 진행할 방침이다.
커넥터 분실로 국내에서 자료 추출이 어려워진 블랙박스 비행기록장치(FDR)은 다음 주 중 미국으로 이송될 예정이며 현재 통관 절차를 밟고 있다. 조사관 2명이 동행해 미국 교통안전위원회(NTSB)와 함께 복원 작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FDR 등 블랙박스 분석은 통상 3개월이 걸리지만, 미국에서 커넥터 분실에 대한 대안을 찾아야 하는 이번 사고에서는 분석 시간이 다소 길어질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블랙박스 분석이 끝나도 자료 수집, 청문회 등을 거쳐야 해 조사 마무리까지는 최소 수개월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사조위는 이날 무안국제공항에서 참사 유가족과 만나 “국제 기준과 국내 법령에 따라 총 12단계로 구분해 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며 현재 4단계인 기본 정보와 자료수집을 위한 현장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향후 유족과 국민들의 알권리 보장을 위해 사고조사 과정에서 공청회 등을 통해 사고 조사 과정을 투명하게 공유하겠다"며 “이후 사고기 잔해와 데이터 분석 시험, 보고서 초안 작성, 공청회, 관련 국가 의견 수렴, 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조사 결과를 최종 공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조사위는 이날까지 관제사 인터뷰, 사고현장 드론 촬영 등을 완료한 상태며 지난 1일 수거한 블랙박스 CVR(음성기록장치)는 국내에서도 해독이 가능해 현재 녹취록을 작성하고 있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