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2월, 지난 10년 중 가장 추웠다…평균 '영하 0.5도'

평년보다 1.7도 낮아

2025-03-06     허운연 기자
(자료제공=기상청)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올해 2월이 최근 10년래 가장 추웠던 2월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은 겨울철(2024년 12~2025년 2월) 기후 특성과 원인에 대한 분석 결과를 6일 발표했다.

겨울철 전국 평균기온은 0.4도로 평년(0.5도)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작년(2.4도)보다는 2.0도 낮았다. 2024년 12월부터 2025년 1월 초까지 대체로 평년 수준의 기온을 보이다가 이후 기온 변동 폭이 크게 나타났고 2월에는 일주일 이상 지속된 추위가 두 차례 발생했다.

1월에는 북극진동으로 인해 10일 전후 대륙고기압과 상층 찬 기압골 영향으로 한파가 발생했으나, 13일 이후에는 따뜻한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자주 받으면서 기온이 크게 올랐다. 1월 서울의 일평균기온 최저는 9일에 영하 9.7도, 최고는 25일에 5.2도로 14.9도의 큰 변동폭을 보였다.

2월에는 이례적 추위가 관측됐다. 북대서양 폭풍 저기압의 북극 유입으로 인한 우랄블로킹 발달 등의 영향으로 봄이 온다는 입춘(3일부터 10일까지)과 얼음이 녹는다는 우수(18일부터 24일까지)에 추위가 각각 일주일 이상 지속됐다. 그 결과 2월 평균기온은 영하 0.5도로 평년보다 1.7도 낮았다. 특히 최근 10년(2016~2025년) 중 가장 낮았다.

2월 이상저온 발생일(62개 지점 중 50% 이상 지점에서 일최저기온이 이상저온이 나타났던 날)은 5~9일, 24일 등 총 6일이었다.

지난 2월 6일 오후 서울 중구 광희동에 내린 눈이 건물 옥상에 소복이 쌓여있다. (사진=허운연 기자)

한편 겨울철 강수량은 39.6㎜로 평년 대비 43.6% 수준으로 역대 하위 4위였으며, 역대 1위로 많았던 작년(236.7㎜)과 비교하면 6분의 1 수준에 그쳤다.

이번 겨울에는 잦은 눈이 관찰됐다. 차고 건조한 북풍이 우리나라로 자주 불어 강수량은 적었으나 대륙고기압 확장과 상층 찬 기압골 영향으로 서해상에서 해기차(바닷물과 대기의 온도 차)에 의해 발달한 눈구름이 유입돼 서쪽 지역 중심으로 눈이 자주 내렸다.

전국 눈일수는 21.9일로 평년보다 6.0일 많았다. 다만 내린 눈의 양은 27.4㎝로 평년(25.9㎝)과 비슷했다. 설 연휴 기간인 1월 27~29일에는 수도권 및 충청, 전라 지역에 지난 겨울철 중 가장 많은 양의 눈이 내렸다.

이외에도 겨울철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해수면온도는 12.4도로 최근 10년 평균보다 0.2도 높았으며, 최근 10년 중 두 번째로 높았다. 12월과 1월은 각각 15.3도, 12.1도로 최근 10년 평균보다 각각 1.0도, 0.2도 높았으나 늦겨울 추위가 발생했던 2월은 9.9도로 0.4도 낮았다.

장동언 기상청장은 "지난 연휴 비와 눈이 내리면서 매우 건조한 대기 상태가 일부 해소되기도 했지만 봄철에는 여전히 산불 발생 위험이 커질 수 있어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이어 "지난 겨울철에도 1월 고온과 늦겨울 추위 등 변화무쌍한 날씨가 나타났고 앞으로도 기후 변동성은 더욱 심화될 수 있다"며 "이상기후 현상을 면밀히 감시하고 신속한 정보를 제공해 국민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