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뚜기, 홈플러스 제품 공급 재개…LG전자 "아직 협의 중"

2025-03-07     김상우 기자
서울 강서구 등촌동에 소재한 홈플러스 강서점 모습. (사진제공=홈플러스)

[뉴스웍스=김상우 기자]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로 인해 일부 식품업체와 가전업체가 제품 공급을 중단한 가운데, 오뚜기가 제품 공급을 재개했다.

7일 오뚜기는 홈플러스와 제품 공급을 합의했다고 밝혔다. 앞서 전날 LG전자와 삼성전자 등의 가전업체를 비롯해 오뚜기, 동서식품, 롯데웰푸드, 롯데칠성음료, 동서식품, 삼양식품 등이 홈플러스에 제품 공급 중단을 결정한 바 있다.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에 돌입한 이유로 대금 지급을 제때 받지 못하거나, 최악의 경우 대금을 떼일 수 있다는 우려가 작동한 결과다. 홈플러스와 상품권 제휴를 맺었던 신라면세점, CJ푸드빌, 에버랜드 등 다수 제휴사도 정산금 지연 가능성을 이유로 홈플러스 상품권 사용을 정지시켰다.

홈플러스는 협력사들의 이러한 조치에 대금 지급에 문제가 없다며 급히 수습에 나서고 있다. 전날부터 일반 상거래채권(납품대금) 지급을 재개했고, 가용할 수 있는 현금잔고가 3090억원이라고 설명했다. 영업활동으로 유입되는 순 현금도 이달에 약 3000억원 수준이 예상된다며 총가용금액이 6000억원대라 강조했다. 오뚜기는 홈플러스와 협의를 마치고 이날부터 정상 납품에 나선다고 밝혔다.

다만, LG전자와 삼성전자는 상황을 예의주시 중이다. LG전자 관계자는 "대금 미정산 우려가 확실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제품 출하를 결정하기가 어려워 협의 결과를 봐야 한다"고 말했다. 동서식품 등 전날 제품 공급을 중단한 대다수 식품업체도 공급 재개를 유보한 상태다.

식품업계 한 관계자는 "홈플러스가 납품대금 지급에 나섰다고 밝혔지만, 총채권액의 일부만 대상으로 삼고 있다"며 "업체 입장에서는 개런티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제품 공급을 재개하기 어렵고, 선입금을 받더라도 지속 공급을 이어갈 수 있을지 고민스럽다"고 설명했다.

서울회생법원은 지난 4일 홈플러스가 신청한 기업회생절차를 승인하면서 모든 채권에 대한 변제를 일시 중단이 가능해졌다. 홈플러스는 기업회생이 2조원대의 금융채무 상환 유예에 맞춰졌다고 밝혔지만, 협력사들은 납품대금 지급도 어려워졌다는 인식이다.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한 지난 4일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홈플러스 영등포점 모습. (사진=뉴스1)

한편, 자금 운용에서 자유롭지 못한 테넌트(임차인)들과 하도급업체들, 중소협력사들은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이들은 대형협력사들과 달리 홈플러스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로 판매  직격타로 돌아온다. 홈플러스 126개 점포에 제품을 공급하는 협력사들은 1800여개, 테넌트는 8000여개 수준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홈플러스가 추진 중인 '세일앤드리스백(매각 후 재임차)'도 쉽지 않아졌다는 진단이다. 홈플러스 대주주인 MBK파트너스는 자금 확보를 목적으로 서울 신내, 부산 가야·연산·해운대·반여, 광주 계림, 대구 내당, 부천 소사, 순천 풍덕 등 9개 점포의 세일앤드리스백을 추진하고 있다.

앞서 홈플러스는 점포 부지를 매각하고 그 자리에 주상복합이나 상가가 개발되면 해당 건물에 입점해 일부를 사용하는 세일앤드리스백 방식을 사용해 효과를 봤다. 시화점과 울산점, 구미광평점 등이 세일앤드리스백 사례다.

만약 세일앤드리스백이 수포로 돌아간다면 2조원대의 금융채무 상환 압박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홈플러스에 1조2000억원을 빌려준 메리츠금융그룹은 빠른 기간 내 회수하겠다는 방침이며, 국민연금 등 연기금·공제회도 1조원가량의 투자금 회수를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재계 한 관계자는 "기업회생 신청에 거미줄처럼 얽힌 이해관계가 단번에 해체된 모습"이라며 "우선은 고정비용 절감을 위한 대단위 인력 구조조정과 함께 자산 매각이 불가피해 보인다. 정치권 이슈로 번진다면 대주주인 MBK파트너스의 자금 수혈 여부가 쟁점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