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주 실적 오르자 회장님 월급부터 '껑충'

4대 금융 회장 평균 연봉 17억…비은행 강화 등 비재무평가도 인정

2025-03-19     차진형 기자
4대 금융지주 본사. (사진=박성민 기자)

[뉴스웍스=차진형 기자] 지난해 역대급 실적을 거둔 금융지주가 CEO에게 두둑한 성과급을 지급했다.

19일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 회장의 평균 연봉은 16억9700만원으로 집계됐다.

가장 많은 연봉을 받은 CEO는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으로 22억7400만원을 받았다. 기본급은 9억원 수준이지만 성과급으로 13억7200만원을 수령했다.

양종희 KB금융 회장은 취임과 동시에 고액 연봉을 찍었다. 지난해 18억4800만원을 받았다. 취임 1년차에 불과하지만 성과급으로 9억4800만원을 수령했다.

양 회장의 성과급은 2023년 회장 선임 이전에 대한 일시지급분 1억9800만원과 제한 주식에 대한 지급분이 포함됐다. 회장 선임 후에도 2100만원의 일시지급분과 성과이연주식 198주(1700만원)를 받았다.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의 보수는 전년 대비 2배 이상 뛰었다. 2023년에는 6억5800만원 수준이었지만 2024년 130% 오른 15억2200만원을 수령했다. 진 회장의 기본급은 8억5000만원, 성과급은 6억7100만원이 책정됐다.

진 회장의 성과급은 2023년 성과에 대한 보상이다. 신한금융은 2023년 당기순이익이 4조3680억원으로 전년 대비 6.4% 감소했지만 이자이익 증가, 유가증권 포트폴리오 관리를 통한 비이자이익이 대폭 확대된 점을 인정받았다.

또 그룹 슈퍼앱인 'Super SOL' 출시를 통한 고객 편의성 제고, AI 컨텍센터 구축을 통한 고객 응대 서비스 고도화 등 그룹 플랫폼 MAU 확대, 선제적인 책무구조도 도입 준비를 통한 그룹 내부통제 체계 기틀을 확립한 점을 감안해 연간성과급 3억3200만원을 지급 받았다.

임종룡 회장의 급여도 대폭 상승했다. 2023년 6억5200만원에서 2024년 11억4400만원으로 75% 올랐다. 임 회장은 기본급여 8억5000만원, 성과급으로 2억8400만원을 수령했다.

임 회장은 우량 자산 중심 성장으로 견조한 이익창출 및 선제적 비용 반영으로 재무제표를 개선했다는 평가다. 또 완전 민영화를 통한 기업가치 제고, 중장기 경영계획 수립과 시너지 신사업 발굴, 벤처파트너스 인수 및 종금 100% 자회사 편입 등 비재무지표 평가도 인정받았다.

은행장 연봉도 대폭 올랐다. 연임에 성공한 행장은 정상혁 신한은행장뿐이지만 자리에 물러난 은행장의 경우 장기성과급을 받아 평균 연봉이 상승했다.

이재근 전 국민은행장이 26억200만원, 이승열 전 하나은행장은 12억5200만원, 조병규 전 우리은행장도 10억6800만원을 받았다.

유일하게 연임에 성공한 정상혁 신한은행장은 기본급 8억2000만원, 성과급 4억1300만원을 수령했다. 은행 실적 개선과 함께 2030년 은행의 중장기 미래지향점 수립, 애자일 조직체계 구축, ESG 경영 강화 등이 성과에 반영됐다.

한편 은행원 평균 연봉도 1억원을 초과했다. 하나은행의 1인 평균 연봉은 1억2000만원으로 시중은행 중 가장 높았다. 이어 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이 각각 1억1900만원, 우리은행은 1억1400만원으로 집계됐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