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BYD, 5분 충전에 '서울서 부산까지' 파장…전문가들 "마케팅일 뿐"
차세대 충전 시스템 '슈퍼 e플랫폼' 공개…"5분 충전 최대 400km" 테슬라·현대차보다 앞섰단 평가엔 전문가들 '실효성·상용화' 의문
[뉴스웍스=정현준 기자] 중국 전기차 1위 기업 비야디(BYD)가 최근 단 5분 충전으로 최대 400km를 주행할 수 있는 차세대 충전 시스템을 공개하며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 파장을 불러 일으켰다. 이에 대해 국내 전문가들은 해당 기술이 완전히 새로운 혁신이라기보다는 '마케팅 효과'에 가깝다는 분석을 내놨다.
왕촨푸 BYD 회장은 지난 17일(현지시간) 중국 선전 본사에서 열린 발표회에서 차세대 배터리 및 충전 시스템인 '슈퍼 e플랫폼'을 공개했다.
BYD는 이를 통해 세계 최초로 양산 승용차에 1000V 고전압과 1000kW의 충전 전력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이 기술로 5분 충전만으로 최대 400km 주행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서울에서 부산까지 이동할 수 있는 거리다.
특히 업계는 경쟁사이자 선두 주자인 테슬라보다 앞선 기술력에 주목했다. 테슬라의 슈퍼차저 V4는 15분 충전으로 약 320km, 벤츠는 10분 충전 시 325km를 주행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는 현대차그룹이 E-GMP 플랫폼 기반의 800V 초급속 충전 기술을 갖추고 있다. 현대차 '아이오닉5'이 초고속 충전소 '이피트(E-pit)'를 이용하면 약 18분 충전으로 388km를 주행할 수 있다. 현대차는 현재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국내 배터리 기업들과 협력해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은 지난 20일 정기 주주총회에서 "5분 충전 기술은 이론적으로 가능하다. 그러나 기술보다 중요한 것은 비용과 시스템 구성"이라고 언급했다.
BYD는 이번 기술 발표와 함께 중국 전역에 4000개 이상의 초고속 충전소 구축 계획도 내놨다. 그러나 국내 전문가들은 이번 BYD의 발표에 대해 '기술 혁신'보다는 시장 선점을 위한 '전략적 과시'에 가깝다고 진단했다.
박철완 서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현대차그룹이 이미 800V 시스템을 상용화한 상황에서 BYD가 이제 진입을 알리는 마케팅 메시지 수준"이라며 "기존 대비 일부 개선된 수준일 뿐, 완전히 새로운 혁신은 아니다"라고 분석했다. 이어 "발표한 충전 속도나 주행거리가 유럽식(WLTP) 기준일 가능성이 높아, 미국식(EPA) 기준으로는 기대 만큼 단축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권용주 국민대 자동차운송디자인 겸임교수도 "1000kW급 충전은 이론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술로, 인프라 구축에 드는 막대한 비용으로 제약이 많다"며 "BYD의 충전소 구축 계획은 수익성이 낮은 영역 인프라 영역을 자본력으로 메우려는 시도로, 기술 격차라기보다는 자금력과 속도 경쟁"이라고 분석했다.
이호근 대덕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고출력 충전 기술이 효율성과 안전성을 모두 만족하려면 전력 수급과 인프라 개선이 전제돼야 한다"며 "주유소처럼 5~10분 충전 시대가 현실화하려면 넘어야 할 기술적·제도적 허들이 많다"고 지적했다.
한편, BYD는 최근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 회원사로 가입해 본격적인 국내 시장 공략을 예고했다. 올해 초에는 소형 전기 SUV '아토3'를 출시했고, 중형 전기 세단 '씰'과 SUV '씨라이언7'도 연내 출시한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BYD는 올해 1월 전 세계 전기차 판매량 1위(25만8000대)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37.9% 증가한 수치로, 중국의 지리차(15만2000대), 테슬라(9만1000대)를 큰 폭으로 앞질렀다. 현대차그룹은 같은 기간 3만1000대를 기록해 9위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