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 협상 본격화…무역적자 큰 韓·日 우선 순위
[뉴스웍스=박명수 기자]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고율의 상호관세를 부과한 교역국과의 협상에 본격 착수했다. 여러 국가가 관세 부담을 줄이려고 동시다발적으로 미국과 협상을 시도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동맹이자 미국과의 교역에서 큰 흑자를 내는 한국과 일본에 우선 초점을 맞췄다.
트럼프 대통령은 8일(현지시간)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통화하고 관세 문제 등을 논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에서 "거대하고 지속불가능한 한국의 (대미 무역) 흑자, 관세, 조선,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의 대량 구매, 알래스카 가스관 합작 사업, 그리고 우리가 한국에 제공하는 대규모 군사적 보호에 대한 비용 지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한국 등 여러 국가가 미국에 무역장벽 완화와 무역수지 개선 등을 약속하며 협상을 요청하고 있다.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이날 CNBC 인터뷰에서 약 70개국이 협상을 요청해 협상 우선순위를 정하고 있다면서 "우리의 교역 파트너 다수가 줄을 섰다"고 말했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에 대해 보복관세로 맞대응한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들과 즉시 관세 협상을 시작하겠다고 선언했고, 같은 날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관세 문제를 협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 한국 정상과 연이어 통화한 것은 동맹과 먼저 협상한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방침에 따른 것이라고 백악관은 설명했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이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의 가장 긴밀한 동맹이자 교역 파트너 중 일본과 한국 두 국가를 분명히 우선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의 무역적자를 신속하게 줄이려면 한국과 일본 등 대미 무역흑자가 많은 국가를 우선해서 상대할 수밖에 없다는 현실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행정부 당국자들은 협상을 통한 관세 인하 여부에 확실히 답하지는 않으면서도 협상할 여지가 상당하다는 입장을 계속 시사하며 협상을 촉구하고 있다.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USTR)도 이날 상원 청문회에서 다른 나라들이 "상호주의를 달성하고 우리의 무역적자를 줄일 수 있는 (관세보다) 더 나은 아이디어"를 제시하면 협상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만 그는 "대통령은 단기에는 면제나 예외를 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해왔다"고 말해 당분간은 관세를 유지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내비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