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전금융권 가계대출 4000억↑…금융당국 "4월 이후가 분수령"

은행권 1조4000억 늘고 제2금융권 4000억 줄어

2025-04-09     허운연 기자
금융소비자가 한 시중은행 창구에서 대출상담을 받고 있다. (사진=이한익 기자)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지난달에도 은행권 가계대출이 증가세를 이어갔으나 증가규모는 다소 축소됐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감소했다. 3월 중 전금융권 가계대출은 4000억원 늘면서 전달(4조2000억원)보다 증가폭이 크게 둔화됐다. 

2월 신학기 이사수요 등으로 다소 큰 폭으로 증가했던 주택담보대출이 3월 들어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분기말 부실채권 매·상각 등에 따른 대출 잔액 감소효과가 더해지며 3월 중 가계대출 증가세가 상당폭 둔화됐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2025년 3월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정책모기지론을 포함한 은행 가계대출은 1조4000억원 증가했다. 작년 12월(-4000억원), 올해 1월(-5000억원) 연이은 감소 이후 2월(3조2000억원), 3월에는 증가흐름을 보이고 있다.

3월 중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은 2조2000억원 늘었다. 지난해 말과 연초의 주택거래 둔화, 신학기 이사 수요 해소 등으로 전달(3조4000억원)보다 증가폭이 축소됐다.

기타대출은 9000억원 줄었다. 부실채권 매·상각 등 계절적 요인으로 감소폭이 전달(-2000억원)보다 확대됐다.

3월 말 기준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1145조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주담대 잔액은 909조9000억원, 기타대출 잔액은 234조2000억원 수준이다. 1~3월 중 가계대출은 4조1000억원 늘었다. 주담대는 7조3000억원 증가했으나 기타대출은 3조2000억원 줄었다.

(자료제공=금융위원회)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제2금융권을 더한 모든 금융권의 가계대출은 3월 중 4000억원 늘었다. 전월(4조2000억원)보다 증가폭이 대폭 축소됐다. 은행권에서는 가계대출이 1조4000억원 늘었으나 제2금융권에서 1조원 줄었다.

전금융권 주담대는 3조4000억 증가했다. 전월(4조9000억원)보다 증가폭이 축소됐다. 기타대출은 3조원 감소했다. 전월(-7000억원)보다 감소폭이 확대됐다. 이는 신용대출(-1조2000억원) 감소 전환한 데 주로 기인한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이날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주재해 "가계대출이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3월 부동산 규제 재시행 이전 활발하게 이뤄진 주택거래는 다소 시차를 두고 가계부채 통계에 반영되는 만큼, 4월 이후가 향후 가계대출 관리에 있어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며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지역으로의 풍선효과가 나타나는지 여부를 국토부 등 관계기관과 함께 면밀히 살펴보고 금융권과 함께 지역별 가계대출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서울시가 지난 2월 강남·송파구 소재 주택에 대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해제하자 이 지역 중심의 부동산 과열 조짐이 나타났다. 이에 정부는 3월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등 강남 3구와 용산구 소재 전체 아파트 약 40만호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재지정했다.

권 사무처장은 "2분기에도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감 등으로 대출금리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금융권이 보다 적극적이고 자율적으로 월별·분기별 경영목표에 맞춰 가계대출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며 "장기·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상품 확대, 모든 가계대출에 대한 소득자료 관리 강화, 부동산 연계대출 인프라 구축 등 2025년도 가계부채 관리방안에서 제시한 주요 과제도 차질 없이 이행해 나겠다. 이를 위해 금융권 및 관계기관도 적극적으로 협조해달라"고 당부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