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K금융, 형제체계·PF 정리 미흡…결국 당국 현장검사
부실자산 흡수능력 부족…상상인 인수 지연도 영향
[뉴스웍스=정희진 기자] 금융당국이 OK저축은행에 대한 현장검사에 착수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구조조정 실적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자, 당국이 사실상 유일한 정책 집행 대상인 OK금융을 정조준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OK저축은행에 대한 현장검사를 착수했다. 올해 상반기까지 PF 익스포저 12조6000억원을 줄이겠다는 목표 아래, 그룹 차원의 구조조정이 지연되고 있는 점이 검사 배경으로 지목된다.
PF 구조조정은 과거와 달리 민간 주도로 추진되고 있다. 금융당국은 지난 2011~2013년 저축은행 사태 당시 공적자금 투입과 사회적 반발을 경험한 뒤, 동일 대주주가 복수 저축은행을 보유할 경우 경영·전략·리스크 기능을 통합하는 방향으로 정책 기조를 전환했다.
이 과정에서 핵심 수단으로 자리 잡은 것이 '형제회사 체계'다. 이는 상대적으로 건전한 계열사가 부실 자산을 떠안는 방식의 구조조정 모델로, 저축은행 업계에선 '입양 모델'로 불린다.
수직적 인수합병이 금지된 저축은행 업권의 특성을 감안하면, 동일 그룹 내 자산 재배치가 사실상 유일한 구조조정 해법이라는 것이다.
다만 이와 같은 구조조정 모델이 작동하려면 두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하나는 국내 자본 기반, 다른 하나는 자본 여력이 충분한 대형사여야 한다는 점이다.
OK금융은 자산 14조원 규모의 업계 2위 국내 저축은행이다. 이 때문에 업계에선 OK금융이 PF 구조조정 정책 이행의 핵심 수단으로 지목된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PF 정리를 위해선 일정 수준 이상의 자본력을 갖춘 저축은행이 부실 자산을 흡수해야 한다"며 "건전한 계열사와 부실 계열사의 1대1 조합이 가능한 국내 은행은 현재로선 OK금융뿐"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OK금융의 구조조정 성과는 당국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PF 자산 감축 속도는 더디고, 상상인 계열 저축은행 인수도 매각가 협상 단계에서 멈춰 있다. 형제회사 체계 구축 역시 이렇다 할 진척이 없는 상태다.
이에 관계자는 "자산 규모가 큰 만큼 당국의 모니터링 강도도 높을 수밖에 없다"며 "이번 검사는 실적이 부족한 대형사를 중심으로 구조조정 압박 수위를 높이겠다는 신호"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