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회계위반 적발 기능 강화…최근 3년간 214사 제재"

2025-05-27     박성민 기자
여의도 금융감독원. (사진=박성민 기자)

[뉴스웍스=박성민 기자] 금융당국이 회계부정 유인이 높은 기업공개(IPO) 예정기업과 재무적 위험 기업 등을 심사 및 감리해 제재 조치를 내렸다. 

27일 금융감독원은 지난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간 총 458사에 대한 재무제표 심사·감리를 실시한 결과 214사가 제재 조치됐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이 중 52사에 대해 총 772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고, 22사에 대해서는 검찰고발 및 통보 조치를 내렸다. 

금감원은 거래소로부터 상장예비심사 신청예정법인을 통보받아 심사대상으로 선정해 오고 있으며, 회계분식으로 가치를 부풀린 기업 등의 자본시장 진입 차단을 위해 심사를 진행하고 있다. 

연도별 심사·감리 현황. (자료제공=금융감독원)

최근 3년간 심사대상으로 선정된 IPO 기업(22사) 중 증선위로부터 중조치 이상을 받은 3개사는 모두 상장이 유예됐고, 이밖에 IPO 직후 회계 부정이 발견된 기업은 추가 피해가 없도록 거래가 정지됐다.

금감원은 한계기업 등 재무적위험기업(31사)과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킨 기업 중 회계 부정과 연관성이 높은 기업(12사)을 심사·감리 대상으로 선정해 36사 중 17사에 대해 조치를 부과했다.

한편 금감원은 회계위반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지난 2011년 이후 심사⋅감리 지적사례들을 공개해 왔으며, 지난해부터는 공개주기를 기존 연 1회에서 연 2회로 단축했다.

심사·감리 지적사례 공개 현황. (자료제공=금융감독원)

이번에 금감원이 공개한 2024년 하반기 지적사례는 총 14건으로, 지적사례 중 가장 많은 유형은 매출·매출원가 허위계상(4사)이었으며 ▲주석 미기재(2사) ▲투자주식 과대계상(1사) ▲금융부채미인식 등 기타자산·부채 관련(7사) 등이었다. 

금감원은 이번에 공개된 심사 및 감리 지적사례가 지난 3년간 역량을 집중한 회계 부정유인이 높은 기업에 대한 회계위반 적발 및 조치 사례를 중심으로 구성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회계 오류를 예방하고, 기업의 적시성 있는 재무제표 정정을 유도하는 테마심사 등의 심사 사례도 포함됐다고 부연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유관기관을 통해 기업 및 감사인에게 심사·감리 주요 지적사례를 배포함으로써 유사사례 재발방지 및 투자자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예정"이라며 "앞으로도 매년 정기적으로 심사·감리 주요 지적사례를 공개해 지속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축적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