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풍 "폐수 무방류 도입 후 낙동강 카드뮴 검출 안 돼"

11일 환경단체 환경오염 논란 제기에 해명 나서

2025-07-11     안광석 기자
경북 봉화군 영풍 석포제련소 제6호기 산소공장. (사진제공=영풍)

[뉴스웍스=안광석 기자] 경상북도 봉화군에 석포제련소를 운영하면서 환경오염 논란을 겪는 영풍이 환경 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점을 또다시 강조했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낙동강 석포제련소 TF 및 낙동강 상류 환경 피해 주민 대책위원회는 11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석포제련소가 낙동강 중금속 오염의 원인이라며 법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이들 환경단체는 지난 3월 석포제련소의 지속적인 환경오염과 이에 대한 환경부 및 지자체의 미온적 대응을 규탄하며 국가권익위원회에 집단민원을 제출했다. 이에 권익위는 관련 행정기관에 대한 기본적이고 원칙적인 의견을 표명했고, 영풍은 민원 내용이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증빙서류를 권익위에 제출한 바 있다.

현재 영풍은 석포제련소에 폐수 무방류 시스템(ZLD)을 도입해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전량 정화 후 100% 공정에 재사용 중이다. 오염지하수 차단시설도 설치하고, 오염된 지하수가 낙동강 수계로 유출되지 않도록 원천 차단하고 있다.

아울러 대기오염물질 저감시설을 확대하고 원격감시시스템을 통한 철저한 모니터링도 실시, 법적 배출허용 기준보다 강화된 기준을 준수한다고 설명했다. 오염토양에 대해서는 현행 토양환경보전법 절차를 준수하면서 정화의무를 이행 중이다.

영풍 측은 "폐수 무방류 시스템 도입 및 오염지하수 확산방지시설 설치 후에는 석포제련소 주변 낙동강에서 카드뮴이 검출되지 않고 있다"며 "공식 의견 수렴을 위해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위원들로 구성된 모니터링 위원회를 설치했고, 낙동강 상류 환경피해 주민대책위원회도 해당 위원회에 위원으로 참여 중"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민원인들을 포함한 일부 단체의 일방적인 주장이 사실처럼 받아들여지면서 오해가 확산되는 상황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하고, 환경개선을 위한 당사의 노력을 명확히 밝히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