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부산 청사 건물 확정…속도전에 반발도 

2025-07-11     정승양 대기자

[뉴스웍스/세종=정승양 대기자] 해양수산부가 부산으로 이전할 새 청사의 위치를 결정해 발표하면서 정부 목표인 연내 부산이전에 가속도를 붙이자 반발도 커지고 있다. 

당장 해수부가 해양도시를 기치로 내건 부산으로 가면 산업통상자원부는 공업도시 울산으로 옮겨야 된다는 식의 논리로 확대돼 대선 때마다 각 지역의 대통령 공약으로 이어지게 될 것 이라는 얘기들이 세종청사 주변에서 농담처럼 회자되고 있다. 해수부는 연말에 정부세종청사에서 일괄 이전하는 일정을 잡고 있다.

11일 해수부에 따르면 전날 해수부 부산 이전 청사 위치가 부산시 동구 소재 IM빌딩(본관으로 사용)과 협성타워(별관으로 사용)로 결정됐다. 해수부는 단일건물 대신 IM빌딩 19개 층 전체(전용면적 1만2208㎡)를 본관으로, 협성타워는 15개 층 중 6개 층(전용면적 3275㎡)을 별관으로 각각 사용하게 되며 두 곳에 본부 인원(계약직과 공무직 포함 850여명)이 이전해 근무하게 된다.

해수부는 당초 업무보고에서 2029년까지 이전 목표를 제시했으나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연내 이전 완료’를 지시하면서 나온 속도전이다. 다만 남은 6개월안 이전을 목표로 실행들이 착착 진행되면서 후유증도 예고되고 있다. 

세종시 시민단체로 구성된 해수부 시민지킴이단은 11일 오후 세종시 나성동 광장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 반대 시민문화제’를 열고 성토에 나섰다. 이 행사에는 해수부 이전에 반발해 지난 2∼4일 해수부 정문 앞에서 1인 시위를 벌였던 최민호 세종시장도 참석, 발언대에 섰다. 

이들은 “해수부가 이전하면 정부세종청사에 있는 관련 기관이 잇따라 이전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른바 ‘울산공업도시로 산업통상자원부 이전’처럼 잇따른 후속 정책들로 각 부처가 하나씩 세종시를 떠나게 될 것이라는 논리다.

국가공무원노조 해양수산 지부도 부산 이전이 공론화 과정이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며 지난 9일부터 국회의사당 정문 앞에서 단식 투쟁에 돌입하며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이들은 내부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86%가 부산 이전에 반대하고, 48%는 이직이나 퇴사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세종시의원 6명은 11일 상경해 이곳을 격려방문 했다. 

대통령의 한마디로  진행되는 급박한 일정에 대해 우려 목소리도 나온다. 한 정부 관료는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 세종시를 달랠 카드로 또 다른 정부기관의 세종시 연쇄 이동도 전망된다” 며 “또 이 같은 발발로 만약 해수부 이전이 불발될 경우 부산시에 제시할 새 당근정책도 또다른 논쟁거리가 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