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압박 소용없었다…연준, 기준금리 4.25~4.50% 5연속 동결

한미 금리차 2.00%p 유지…이사 2명 금리 인하 주장 파월 "9월 회의 어떤 결정도 안 내려…아직 지켜봐야"

2025-07-31     박성민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 (출처=연준 홈페이지)

[뉴스웍스=박성민 기자]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기준금리를 또다시 동결했다. 

30일(현지시간) 연준은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치고 기준금리를 현행 4.25~4.5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미 기준금리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5회 연속 동결됐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현재 4.25∼4.50%인 미국의 기준금리를 1.00% 수준까지 낮춰야 한다고 주장하며 연일 연준을 압박했다.

그러나 연준은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다"며 "실업률은 여전히 낮고 노동시장은 견조하나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다소 높다"고 금리 동결 배경을 설명했다.

다만 연준 내부에서 분열의 조짐이 감지됐다. FOMC 위원 12명 가운데 11명이 참석한 이번 회의에서 금리 동결은 찬성 9인과 반대 2인 의견으로 갈렸다. 

미셸 보먼, 크리스토퍼 월러 위원은 0.25%포인트 인하를 주장, 금리 동결에 반대했다. 두 사람은 내년 5월 임기가 만료되는 파월 의장의 후임으로 강력 지목되는 인물이다. 아드리아나 쿠글러 위원은 불참했다.

지난 6월 만장일치로 금리 동결 결정을 내렸던 것과 비교하면 연준 내부에서 분위기가 미묘하게 달라진 셈이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FOMC 결과 발표에 앞서 예상을 웃돈 2분기 국내총생산(GDP)을 언급하며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파월 의장이 금리를 지금 내려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파월 의장은 금리 동결 후 기자회견에서 "관세 인상이 일부 상품의 가격에 더 분명하게 나타나기 시작했지만 경제 활동과 인플레이션에 대한 전반적인 영향은 아직 지켜봐야 한다"고 조심스러운 입장을 드러냈다. 이어 "우리는 9월 회의에 대해 어떤 결정도 내리지 않았으며 9월 FOMC 회의를 앞두고 우리가 얻는 모든 정보를 고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연준의 이번 결정으로 한미 간 금리차는 상단 기준 2.00% 포인트를 유지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