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노조 "주4.5일제는 시대정신"…9월 총파업 수순 돌입

점포 축소‧인력 감축 지적…"고객 불편은 구실일 뿐"

2025-07-31     차진형 기자
김형선 금융노조 위원장이 은행연합회 앞에서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뉴스웍스=차진형 기자] 금융권 노동시계가 빠르게 '전면전 모드'로 돌입하고 있다.

31일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에 따르면 은행연합회 앞에서 릴레이 1인 시위를 시작으로 주 4.5일제 도입을 위한 전면 투쟁에 착수했다. 쟁의행위 찬반투표는 9월 1일, 총파업은 9월 26일로 예고돼 있다.

금융노조는 이번 교섭을 '대한민국 일·생활 균형 회복의 마중물'로 규정하며 사회적 대전환을 촉구했다.

김형선 위원장은 "주4.5일제는 국민의 86%가 원하는 제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채용 플랫폼 '사람인' 조사에 따르면 직장인 3576명 중 86.7%가 노동시간 단축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재명 대통령도 지난 7월 3일 브리핑에서 "주4.5일제를 법적 강제보다는 사회적 합의를 통해 빠르게 추진하고 싶다"고 밝힌 바 있다.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인 김영훈 역시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가능한 곳부터 시범사업을 지원하겠다"며 "기술 발전으로 생산성이 오르면 임금 삭감 없이 주4.5일제 도입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처럼 제도화에 대한 여권·정부의 공감대도 분명해지고 있다.

은행 경영진은 일단 고객 불편을 내세우며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에 김형선 위원장은 "최근 5년간 은행 점포 765곳이 폐쇄됐고, 7년간 시중은행 인력은 7184명 줄었다"며 "금요일 오후 공백보다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고객 응대를 더 강화하면 효율은 오히려 좋아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노조 측은 금융권의 고수익 구조와 국민 여론 간 괴리를 지적하며 이번 투쟁이 단순한 임금·근로조건 문제가 아님을 강조한다.

김 위원장은 "20년 전 주5일제 도입 때도 '나라 망한다'는 말이 나왔지만 결과는 더 나은 사회였다"며 "누군가는 욕을 먹더라도 새로운 물꼬를 터야 변화가 시작된다"고 말했다.

한편 금융노조는 지난 24일 지부대표자회의, 25일 중앙위 회의를 거쳐 투쟁 수위를 전면전으로 상향 조정했다. 오는 8월 4일부터는 전국 42개 지부 본점에서도 동시 릴레이 시위를 벌일 계획이다. 이어 내달 1일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거쳐 9월 16일 총력투쟁 결의대회, 9월 26일 전 조합원 총파업이라는 시나리오를 확정한 상태다. 교섭 결렬이 장기화될 경우 은행서비스 차질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