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폭우 직후 폭염…건강·생계 '복합' 피해 심각

광주·전남 온열질환 환자 급증, 전년보다 2배 이상 축산·농업 피해 올해 최악…재난 대응 한계 노출

2025-08-06     우수한 기자
담양군 관계자들이 집중호우 피해 축산농가 신속 복구 지원을 위해 현장을 살피고 있다. (사진제공=담양군청)

[뉴스웍스=우수한 기자] 이번달 초 광주와 전남에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진 직후 35도에 이르는 폭염이 이어지며 복합 재난 상황이 발생했다. 시간당 140㎜가 넘는 집중호우에 이어 고온 현상이 지속돼 건강·생계 피해가 어느 때보다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특히 노약자, 농업·축산업 종사자 등 취약계층의 2차 피해가 집중적으로 일어나면서 지역사회에서 근본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6일 광주·전남 재난안전대책본부 자료와 현장 취재를 종합하면, 광주 50명·전남 215명 등 총 265명이 온열질환으로 긴급 치료를 받았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두 배 넘는 규모다. 급격히 상승한 기온과 습도가 고령자·장애인·야외 노동자 등 건강 취약계층의 위험을 증폭시켰다는 분석이다.

축산 농가 피해도 심각하다. 전남 지역 333개 농가에서 닭·오리·돼지 등 가축 20만8670마리가 폐사했으며, 일시적 사료 공급 중단과 정전까지 겹치면서 피해가 커졌다. 함평군의 한 축산농가는 "폭우로 축사가 침수된 뒤 사료 공급이 중단되고 정전까지 이어져 가축을 지키는 데 한계가 컸다"고 밝혔다.

농업 분야 역시 큰 타격을 받았다. 집중호우로 인한 토양 유실, 뒤이은 폭염으로 발생한 병충해와 작물 생육 저하로 농가 손실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지역 농민단체는 작물 품질 저하와 생산비 증가 등으로 농업 위기가 확산되고 있다고 전했다.

3일 저녁 광주 광산구 하남지구 대로변이 물에 잠겨있다. (사진=우수한 기자)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도 긴급 대응에 나섰다. 광주·전남 재난안전대책본부는 선풍기·얼음팩 등 구호 물품을 긴급 지원하고, 방역 및 피해복구를 병행하고 있다. 전남중소벤처기업청은 피해 소상공인에 대한 긴급 융자와 현장 컨설팅을 확대했다. 전남대학교병원, 조선대학교 등 지역 대학들도 재난 의료지원단을 꾸려 건강 점검 및 심리 지원 활동을 펼치고 있다.

하지만 주민들은 반복되는 이상기후로 인해 일상과 생계 모두에서 불안을 느끼고 있다고 호소하고 있다. 지역 전문가들은 "폭염과 집중호우 등 기상이변이 앞으로도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며 "예방·지원 통합 모니터링 체계, 재난보험 확대, 공공 냉방시설 확충 등 근본적이고 종합적인 재난 대응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지역 대학·연구기관, 지자체 간 협력을 통해 현장 맞춤형 대응기술 개발과 기후위기 예측체계 마련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지역 정치권 한 관계자는 "이제는 단순 복구를 넘어, 기후위기에 대응할 근본적인 체계 전환이 필요하다"며 "공공기관, 지자체, 학계, 시민사회가 힘을 합쳐 통합 재난 대응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