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가 답이다"…공공마이데이터 기반 복합지원 8월 본격 가동

서금원·신복위 상담, 객관적 정보로 정밀도↑…사각지대 줄인다

2025-08-06     차진형 기자
공공마이데이터 활용 맞춤형 복합지원 핵심기능. (자료=금융위원회)

[뉴스웍스=차진형 기자] 서민금융과 채무조정 지원체계가 데이터 기반으로 탈바꿈한다. 금융위원회와 행정안전부는 오는 11일부터 '공공마이데이터 활용 맞춤형 복합지원'을 전국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에서 본격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개편은 상담의 정확성과 속도를 높이고, 고객이 놓치는 복지·고용 지원제도까지 자동으로 연계하겠다는 취지다. 공공기관이 보유한 21종의 행정정보를 상담 단계에서 바로 조회·분석해 정책 연계의 실효성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지금까지 서민금융진흥원(서금원)과 신용회복위원회(신복위)는 고객 진술에 의존해 복합지원 상담을 진행해왔다. 상담 직원의 경험과 직관이 중요했지만, 소득이나 가구 상황 등을 파악하는 데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누락 가능성도 컸다.

반면 공공마이데이터 기반 상담은 다르다. 고객의 동의만 있으면 고용보험 가입 여부, 폐업 이력, 가족관계, 복지급여 수급 여부 등 21가지 행정정보를 즉시 불러와 자동 분석한다. 이를 통해 상담 시간은 기존 평균 30분에서 5~10분으로 단축되고, 고객이 말하지 않아도 필요한 지원을 선제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주관적 진술이 아닌 공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담이 이뤄지기 때문에 복지나 고용 연계 제도의 적용률과 수급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이번 시스템 도입의 핵심은 정확성과 형평성이다. 누구에게 상담을 받든 동일한 정보 기반의 지원이 가능해지고, 놓치기 쉬운 복지정책도 자동으로 탐지·제안된다.

예를 들어 폐업 상태의 한부모 가정, 고정 수입 없는 일용직 근로자가 상담을 받을 경우 기존에는 해당 정보를 직접 말해야 지원이 가능했다.

하지만 새 시스템에서는 공공데이터를 통해 자동으로 한부모 자격, 소득 불안정, 폐업 사실을 파악하고 ▲국민취업지원제도 ▲내일배움카드 ▲지자체 공적급여 ▲복지멤버십 ▲의료비 지원까지 한 번에 연계해준다.

이 같은 상담 자동화는 현장 직원의 역량 편차를 줄이고 표준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정부는 이번 사업을 마중물로 삼아 부처 간 협업을 통한 연계 서비스를 지속 확대할 방침이다. 금융위와 행안부는 시범운영을 거쳐 8월 11일 본격 시행에 들어가며, 오는 27일에는 서울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현장에서 실제 상담 이용자 및 직원의 목소리를 청취할 예정이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