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올해 한국 성장률 0.8% 전망 유지…"건설업 부진"

2025-08-12     허운연 기자
(자료제공=KDI)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을 0.8%로 제시했다. 2월 1.6%에서 5월 0.8%로 낮췄고, 8월에는 이를 유지했다.

수출 증가세와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등에 따른 소비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건설업 부진 여파로 성장률 전망치를 끌어올리는데 실패한 모습이다.

KDI는 12일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우리 경제는 2025년에 건설업 부진과 통상여건 악화로 0.8% 성장하는 데 그친 후 2026년에는 통상분쟁의 여파에도 불구하고 완만한 내수 회복으로 1.6% 성장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최근 우리 경제는 작년 이후의 둔화 흐름에서는 벗어났으나 여전히 낮은 성장세에 머무르고 있다. 1분기(-0.2%) 역성장한 후 2분기에는 수출 개선, 기저효과 등으로 전기 대비 0.6% 증가했지만, 전년동기 대비로는 0.5%의 낮은 증가율에 그쳤다. 경제활동별로는 제조업이 소폭 개선됐으나 서비스업이 낮은 증가세에 머무르고 건설업도 위축된 상태를 지속하고 있다.

성장 전망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민간소비는 금리 하락세와 소비부양책 등으로 올해 하반기 이후 부진이 완화되면서 2025년과 2026년 각각 1.3%, 1.5% 정도로 증가세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제2회 추가경정예산을 반영해 올해 민간소비 증가율을 0.2%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설비투자는 대외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금리 하락세와 반도체경기 호조세가 유지되면서 올해와 내년 각각 1.8%, 1.6% 정도의 완만한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건설투자는 고금리 시기에 부진했던 건설수주가 반영되며 작년(-3.3%)에 이어 올해(-8.1%)도 큰 폭의 감소세가 우려된다. 다만 건설수주 회복이 점차 반영되면서 내년에는 2.6% 정도 증가하며 부진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KDI는 상반기 건설투자가 기존 전망을 하회한 가운데 부동산 PF 시장 정상화 지연, 대출 규제 강화 및 건설 현장의 안전사고 여파 등으로 건설투자 회복이 지체될 수 있어 올해 건설투자 증가율을 3.9%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부산항에서 수출 컨테이너들이 적재된 모습. (사진제공=부산항만공사)

수출은 미국의 관세인상에 따라 작년(6.8%)에 비해 증가세가 크게 둔화되면서 올해과 내년에 각각 2.1%, 0.6% 정도 증가할 전망이다.

관세인상의 부정적 영향이 올해 하반기 이후 본격화되면서 상품수출은 올해와 내년 각각 1.2%, 0.2% 정도 증가하는 데 그칠 전망이다. 글로벌 반도체경기 전제를 상향 조정했고, 선제적 수출 효과가 기존 전망에 비해 크게 나타난 점을 반영해 올해 상품수출 증가율을 1.6%포인트 상향했다.

올해 1월 1일부터 8월 10일까지 통관 기준 수출은 0.6% 증가했다. 연말까지 증가세를 유지할 경우 연간 기준 역대 최대였던 작년(6836억달러) 실적을 뛰어넘게 된다. 

경상수지는 반도체경기 호조와 교역조건 개선으로 대규모 흑자 추세를 지속할 전망이다. 작년(990억달러)에 이어 올해와 내년에도 각각 1060억달러, 910억달러 정도의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가 예상된다.

소비자물가는 낮은 경제 성장세에 따라 상승세가 다소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 유류세 및 공공요금 인상에도 불구하고 수요 압력이 낮게 유지되면서 소비자물가는 작년 2.3%에서 올해과 내년에 각각 2.0%, 1.8% 정도로 상승세가 둔화될 전망이다. 기존 전망에 비해 국제유가 전제와 민간소비 전망이 상향 조정됨에 따라 올해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0.3%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또 인구구조 변화와 낮은 경제성장세로 인해 취업자 수 증가폭은 작년 16만명에서 올해 15만명, 내년 11만명 정도로 축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KDI는 "미국과 주요국 간의 통상 갈등이 격화되면서 대외 수출 여건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며 "반도체 관세가 큰 폭으로 인상될 경우 우리 수출에도 작지 않은 하방 위험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아세안 등에서 우리 반도체가 중간재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주요 반도체 교역국에 대한 반도체 관세인상도 우리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대내적으로는 부동산 PF 시장 정상화가 지연되면서 건설투자 회복이 지체될 수 있고, 건설투자 부진이 건설업체의 재무건전성 악화로 이어지면서 공사 진행에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