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 'D-3'…장관급 美 사전방문 외교·경제 의제 조율

조현 외교부 장관, 日 건너뛰고 루비오 美 장관과 회동 김정관·여한구 장관도 美 실무진과 접촉 경제현안 조율

2025-08-23     안광석 기자
미국을 방문 중인 조현(오른쪽) 외교부 장관이 22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美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과 면담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뉴스웍스=안광석 기자] 한국의 이재명 대통령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간 첫 정상회담이 사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조현 외교부 장관 및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이 미국에 선발대로 가 정상회담 의제를 논의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22일(현지시간)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회동했다.

앞서 조 장관은 한국시간으로 지난 21일 갑작스럽게 미국 출장길에 올랐다. 일본 이시바 시게루 총리를 만나기 위해 일본에 출국한 이 대통령의 정상회담 수행을 건너뛰고, 갑작스럽게 방미길에 오른 것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한미 정상회담 관련 돌발변수가 발생한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다. 이에 대해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한국시간으로 22일 "갑작스러운 일이 아니다"며 "더 긴밀한 (한미정상회담 관련) 조율 작업을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회동에서 루비오 장관은 첫 한미 정상회담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양측에 승리를 안겨주는 건설적이고 생산적인 회담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이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화답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특히 루비오 장관은 이 대통령이 일본을 먼저 방문하고 미국을 찾는 것은 "현명한 선택"이라며, 미국도 한미일 협력을 계속 강화하기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미 국무부도 이날 토미 피곳 부대변인 명의의 자료를 내고 조 장관과 루비오 장관의 회동 사실을 확인했다. 피곳 부대변인은 "한반도와 인도·태평양에서 평화와 안보, 번영의 핵심 축으로 70년 이상 유지돼온 한미 동맹의 지속적인 강점을 강조했다"고 전했다.

피곳 부대변인은 또 "두 장관은 인·태 지역에서 억지력을 강화하고 집단 부담 분담을 확대하며, 미국 제조업의 재활성화를 돕고, 공정성과 상호성을 회복하는 미래지향적 의제를 중심으로 한미동맹을 진전시키는 방안을 논의했다"고 덧붙였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도 양국의 관세협상 및 산업·에너지·교역 분야 협력 관련 정상회담 의제를 미국 측 실무진과 조율 중이다.

김 장관은 이날 오후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 장관을 만날 예정이다. 여 본부장은 전날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만났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