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공공마이데이터 활용 취약계층 '맞춤형 복합지원'
서민금융진흥원·신용회복위원회 현장간담회 개최 상담 과정·사후관리 개선…10월 중 안내체계 마련
[뉴스웍스=정희진 기자] 금융위원회가 맞춤형 복합지원 사업 시행 한 달을 맞아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고 제도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다.
공공마이데이터 기반의 복합지원이 취약계층과 소상공인에게 보다 빠르게 전달되도록 현장 의견을 반영한 보완책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금융위원회는 27일 서민금융진흥원, 신용회복위원회와 함께 지난 11일부터 본격 시행된 맞춤형 복합지원 사업의 운영 과정에서 드러난 애로사항과 개선 과제를 점검하기 위해 현장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는 맞춤형 복합지원 서비스 소개와 상담 시연을 시작으로, 이용자와 현장 상담직원의 의견을 듣는 순서로 진행됐다.
이용자들은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에서 신속하게 복지 연계와 종합지원을 받았던 경험을 공유하며, 제도 홍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현장 상담직원들은 새로 도입된 서비스를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몇 가지 개선점을 지적했다.
우선 상담 과정에서 공공마이데이터 활용 동의를 얻는 절차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아울러 상담 이후에는 이용자 본인이 연계된 제도를 제대로 기억하지 못해 민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최근 폐업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의 상담이 증가하면서 이들을 위한 복합지원 연계체계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금융위와 관계기관은 이번 간담회에서 나온 의견을 토대로 즉시 개선할 수 있는 과제부터 연내 조치를 완료하기로 했다.
먼저 상담 과정에서는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상담 예약자에게 사전 안내 문자를 발송하고, 대기 시간 중 복합지원 홍보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상담 이후에는 이용자에게 맞춤형 복합지원 상담 결과와 연계 기관 정보를 요약한 안내 문자를 보내 후속 연락 과정에서의 혼선을 줄인다.
또한 소상공인 지원 범위 확대를 위해 한국자산관리공사,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등 관련 기관과의 협의도 즉시 착수한다. 상호 안내 체계는 오는 10월 중 마련될 계획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맞춤형 복합지원이 서민금융·채무조정 이용자들이 각종 지원을 몰라서 받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하는 '안전장치'가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