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청구서는 뭘까…이억원 금융위원장 청문회가 '가늠자'

은행권, 금감원장 상견례 후 실행 전략 업데이트 등 대책 마련 분주

2025-08-30     정희진 기자
5대 시중은행 본점 전경. (사진=각사 제공)

[뉴스웍스=정희진 기자] '내부통제'와 '민생금융'을 강조한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에 이어 내달 2일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의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은행권이 당국의 강화된 기류를 체감하고 있다.

30일 은행권 내부에서는 금감원장-은행권 상견례 이후 당국의 움직임을 촘촘히 분석하는 흐름이 감지된다.

내부통제 강화는 여전히 은행권의 최우선 과제다. 이 원장이 "내부통제는 비용이 아닌 신뢰에 대한 투자"라고 못 박은 만큼, 은행들은 기존 시스템을 고도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내부통제와 관련해서는 현재 은행권들이 명확한 실행안이 나오면 거기에 맞춰 대응할 준비를 하고 있다"며 "사전에 요구사항을 예상하고 선제적으로 대비하려고 노력 중"이라고 전했다.

은행권은 민생금융과 생산금융 확대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 기준으로는 생산적 금융이나 추가 투자를 더 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만 모든 역량을 한꺼번에 쏟아부으면 정책 방향이 바뀌었을 때 대응이 어려워, 가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사진제공=금융감독원)

이렇듯 은행권이 긴장감은 여전히 높다. 구체적인 '청구서'가 아직 발행되지 않은 탓이다.

ELS 사태와 관련해선 '돈을 많이 내게 하겠다'는 신호는 이미 나왔지만, 규모와 시점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배드뱅크 논의도 상황은 비슷하다. 

또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부담 규모가 정해지지 않아 내부적으로는 긴장하고 있지만, 뚜렷한 대응은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결국 누구 하나가 먼저 사례로 걸리면, 그때를 기준으로 '청구서'가 만들어질 것이라는 불안감이 있다"며 "'이제 본격적인 시작'이라는 느낌이 든다"고 말했다.

한편 내달 2일 열리는 이억원 후보자의 인사청문회는 정책 방향과 실행 속도를 가늠할 분기점으로 꼽힌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융위와 금감원은 기조가 같은 만큼, 조직 개편 후에도 궤를 같이할 것으로 보인다"며 "두 기관의 협력으로 만들어진 점검표가 곧 청구서가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앞서 이 후보자는 지난 14일 출근길에서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원팀 정신으로 유기적으로 협업해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업계는 이 발언을 두고 '청문회 이후 정책 드라이브가 한층 빨라질 것'으로 보고 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