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청 안 한 카드 배송? 사기부터 의심"…카드배송 원스톱 조회서비스 시행
보이스피싱 신종 수법 차단 위해 27개 금융사 참여…실시간 조회로 소비자 피해 예방
[뉴스웍스=차진형 기자] 보이스피싱 범죄가 날로 진화하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카드배송 원스톱 조회서비스'를 9월 2일부터 전면 시행한다.
최근 사기범들이 '신청하지 않은 카드가 배송 중'이라는 불안 심리를 악용해 피해자를 속이는 사례가 급증하자, 금융감독원과 금융결제원이 전업·겸영 카드사와 공동으로 대응책을 내놓은 것이다.
이번 서비스는 국내 발급 카드의 배송 현황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는 통합 조회 시스템으로, 보이스피싱 차단에 실질적 효과가 기대된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최근 보이스피싱 범죄자들은 '카드 부정 발급 및 사용'이라는 공포심을 자극해 피해자에게 접근하는 수법을 집중 활용하고 있다.
사기범은 피해자에게 '본인 명의의 신용카드가 신청돼 배송 중'이라고 알린 뒤, 가짜 카드사 콜센터 번호를 제공한다. 피해자가 해당 번호로 전화를 걸면 사기범은 원격제어 앱 설치를 유도하거나 금융기관·검찰을 사칭해 추가 범죄로 이어간다.
문제는 실제 카드 발급 여부를 소비자가 즉시 확인할 수단이 부족했다는 점이다. 카드사에 직접 연락해도 콜센터 연결 지연과 절차 복잡성 때문에 피해자들이 사기범 안내를 따르는 경우가 많았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전까지는 실제 발급 여부를 즉시 확인할 방법이 없다는 공백을 범죄 조직이 악용했다"며 "이번 서비스 시행으로 사칭형 범죄 예방에 큰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카드배송 원스톱 조회서비스는 금융결제원의 '내 카드 한눈에'플랫폼을 기반으로 구축됐다.
소비자는 이를 통해 국내 전업·겸영 카드사 및 은행 발급카드의 배송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참여 금융사는 총 27곳으로, BC·국민·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카드 등 주요 카드사와 기업은행, 농협, 케이뱅크, 토스뱅크, 카카오뱅크까지 대부분의 카드 발급사가 포함됐다.
특히 기존 서비스는 수령·등록 완료 후 카드 정보만 조회 가능했지만, 이번 개편으로 제작·발급 및 배송 중인 단계까지 실시간 조회가 가능해졌다. 배송 중인 카드는 화면에 '배송중'으로 표시돼 직관성을 높였다.
서비스는 단순 조회 기능을 넘어 범죄 차단 시스템과 연계된다.
조회 결과 배송 단계에 해당 카드가 표시되지 않는다면 100% 사기 가능성이 높은 상황으로 간주해 바로 '전화번호 신고하기' 메뉴를 통해 사기범 번호를 차단할 수 있다. 신고된 번호는 금융결제원 및 통신사 확인 절차를 거쳐 이용이 중지된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배송 조회와 신고 절차를 원스톱으로 연결해 소비자가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며 "범죄에 활용되는 가짜 콜센터 네트워크 차단 효과도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금융감독원은 소비자에게 배송 알림 전화를 무조건 의심하라고 당부했다.
실제 서비스에서는 조회 결과에 없는 카드는 절대 배송 중일 수 없다는 점이 핵심이다. 특히 고령층과 디지털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홍보도 병행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