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노트] 첨단산업 100조 펀드가 여는 광주·전남의 '미래 경제지도'
[뉴스웍스=우수한 기자] 한국 경제의 최대 현안 중 하나가 수도권 집중이다. 수도권 전국 GDP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면서 비수도권가 저성장·저투자의 늪에 빠졌다. 이런 상황에서 이재명 정부가 제시한 100조원 규모 첨단전략산업펀드가 광주·전남의 '제3의 경제축'으로 도약할 전략금융으로 떠오르고 있다.
광주는 국내 유일 AI 특화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국가AI데이터센터가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이 센터는 연산능력 88.5페타플롭스(PF), 저장용량 107페타바이트(PB), 엔비디아 H100 GPU 880대를 갖췄고, 700개 기관·기업가 1300건 프로젝트를 지원했다. 2021~2024년가 SCI급 논문 150편을 포함해 총 611편 연구성과를 기록했다.
광주과학기술원 연구팀장은 "AI 실증·연구와 산업의 연결이 빠르게 이뤄진다"고 하면서 "첨단과학국가산업단지(793만1000㎡)와 평동일반산업단지(496만5000㎡)를 잇는 물리적 규모가 지방 도시 중 압도적"이라고 평가했다.
호남권 위치는 다른 권역과 비교해도 두드러진다. 부산 AI 투자 규모가 2024년 1조2000억원원, 대경권 로봇산업 투자가 7000억원에 그치는 가운데, 광주·전남은 데이터센터 지원 1300건, 기업 연구거점 이전 32건 지표를 보유한다.
전남 재생에너지 특구 5곳 지정은 충남 4곳, 강원 3곳을 뛰어넘는다. "호남권은 에너지·모빌리티·콘텐츠 융복합 허브로서 균형발전 본보기"라며 김영록 전남지사가 진단해 단순 지역 의제임을 넘어서고 있다.
그러나 100조원 펀드 운용 과정은 '부실 투자'와 '사후 점검 미비' 리스크를 안고 있다. 운영위원회에 지방자치단체, 학계, 산업계 대표를 포함해 지역 수요를 실시간 반영해야 한다. 아울러 연간 성과 평가 법제화와 민간감독위원회 설치로 재원 집행 내역을 공개·검증해야 한다.
정책 실행력과 지속가능성을 높이려면 다섯 가지 과제가 이행되어야 한다.
먼저 국가AI데이터센터 운영 예산(신청 670억원 중 26억원 반영)을 '국가사업'으로 재분류해 100% 예산을 확보해야 한다.
두 번째는 기금 운용위원회에 중앙정부·KDB뿐 아니라 지방 전문가, 기업인, 연구자 참여를 의무화해 투명성을 확보해야 한다.
세 번째는 성과관리 체계 법제화로 연간 투자 성과 보고서 공개 및 민간감독위원회 설치가 요구된다.
네 번째는 부산·대경권 등과 연간 비교 지표 도입으로 지역 간 협력 모멘텀을 창출해야 한다.
다섯 번째는 AI 인재 유치를 위한 주거비 지원, 교육·문화 시설 확충, 산단 주변 복합단지 조성 등 정주 인프라 패키지 마련이 필요하다.
수도권에 집중된 대한민국 경제 지형을 바꾸려면 광주·전남은 '초융합 클러스터'로 진화해야 한다. 현장 목소리, 비교 지표, 리스크 관리 방안을 모두 갖춘다면 이재명 정부 100조원 펀드가 단순 '재정 퍼주기'를 넘어 '진정한 혁신 전략'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