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년 연속 日 사도광산 추도식 불참…추도사 '강제징용' 표현 이견

2025-09-04     박성민 기자
일본 사도섬에 위치한 '사도 광산' 내부. (출처=사도광산 공식 홈페이지)

[뉴스웍스=박성민 기자] 우리 정부가 일본이 주관하는 제2회 사도광산 추도식에 참석하지 않기로 했다. 

4일 외교부 관계자는 "정부는 올해 추도식이 한국인 노동자들의 넋을 기리고 유가족의 아픔을 위로하는 방향으로 온전하게 개최될 수 있도록 일본과 적극 협의했지만, 핵심 쟁점에서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외교부는 일본 측에 불참 의사를 통보했다.

해당 관계자는 "정부는 실제로 양국 간의 진지한 협의가 진행됐다고 본다"고 설명했지만 "결과적으로 핵심 쟁점에 대한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고, 결국 올해 추도식에 참석하기 어렵다는 판단에 이르게 됐다"고 설명했다. 

올해 사도광산 추도식은 오는 13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섬에서 열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 정부의 불참으로 일본은 단독으로 추도식을 열 예정이다.

정부가 2년 연속 추도식에 불참하기로 결정한 배경에는 추도사 내용이 걸림돌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에도 일본은 추도사에 '한반도 출신 노동자'라는 표현을 적시했을 뿐, 한국인 노동자들이 강제로 징용됐단 표현은 넣지 않았다. 

앞서 일본은 사도광산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면서 한국 동의를 얻기 위해 모든 노동자를 추도하는 행사를 매년 열기로 했다. 사도광산은 일제강점기 태평양전쟁이 본격화됐을 당시 약 1500명에 달하는 조선인들이 강제 동원돼 가혹한 환경에서 노역을 당한 장소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