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평당·하남산단 '삼중고' 직면…회복 불씨 살릴 묘책은

상반기 생산액 1조원 가까이 감소·지하수 오염 '수백 배 초과' 협력업체 매출 5000억원 급감 우려·관세 분쟁까지 '악재' 정부·광주시 단기 지원책 추진 불구 장기 전략 부재 '지적'

2025-09-19     김영환 기자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산단 6번로에 위치한 삼성전자 광주사업장에서 직원들이 '시스템 에어컨'을 생산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

[뉴스웍스=김영환 기자] 광주 평동·하남산업단지가 생산 감소, 지하수 오염, 인력난, 무역 이슈 등 복합 위기에 직면했다. 정부·광주시는 여섯 가지 지원책을 펼치고 있으나 예산·인력난과 장기 전략 부재로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광주광역시·한국산업단지공단 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하남산단 생산액은 3조3410억원에서 3조150억원으로 3.1% 감소했다. 평동산단도 2조7640억원에서 2조7270억원으로 1.3% 줄었다. 광주투자유치센터 분석 시 상위 10대 협력업체 매출은 약 5000억원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환경 리스크도 심각하다. 광주시에 따르면 하남산단 지하수에서는 트리클로로에틸렌(TCE) 농도가 기준치의 466배, 퍼클로로에틸렌(PCE)은 284배 초과 검출됐다. 음용수용 지하수 관정 76곳이 폐쇄됐고 생산용 지하수 관정 245곳이 전수 조사됐다.

기업 경영난은 금융지표에도 드러난다. 한국산업단지공단에 따르면 산단 내 중소기업 12곳이 폐업 위기에 몰렸으며, 대출 연체율은 4.2%로 전국 평균 2.8%를 상회한다. 고용시장도 불안하다. 고용노동부 광주지청 ‘2025 상반기 고용동향’에 따르면 산단 지역 실업률은 4.8%로 상승했고, 청년·숙련 인력 이탈률은 전년 대비 7.5%포인트 늘었다.

광주 하남산단 전경. (사진제공=광주광역시)

이에 관해 광주시는 ▲에너지산업융합단지 활성화 ▲스마트그린산단 전환 ▲근로복지시설 설치 지원 ▲AI창업캠프 운영 ▲중소기업 성장지원 ▲RE100 연구 등 여섯 가지 정책을 시행 중이다. 하지만 예산 부족, 전문인력 부재, 실행 지연, 민간투자 유인 부족으로 성과가 제한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지역 경제 전문가들은 ▲통합 모니터링 플랫폼 구축 ▲환경복원기금 1조원 조성 ▲산단 전용 R&D 펀드·정책금융 확대 ▲청년 인턴십·재교육과 주거·보육·의료 패키지 ▲AI·그린 기술 융합 실증 사업과 데이터 공유 체계 ▲국가 미래모빌리티 로드맵·탄소중립 특구 지정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지역 경제 연구소 관계자는 "단기 지원만으로는 산단 위기를 타개하기 어렵다"며 "환경·금융·고용·무역 리스크를 포괄하는 장기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AI와 친환경 기술을 결합한 융합모델 구축이 지역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