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진 금감원장, 상호금융에 '내부통제·부실 정리' 압박
상호금융 중앙회장과 간담회…"횡령·부당대출 견제 장치 단일화 필요"
[뉴스웍스=정희진 기자]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상호금융 중앙회장들과의 간담회에서 내부통제 강화와 부실대출 정리를 강하게 주문했다.
대형 금융사가 닿지 못하는 지역 금융의 본연 역할을 강조하는 한편, 연체율 상승과 수익성 악화의 악순환을 끊고 내년부터 새 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1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이 원장은 이날 농협중앙회에서 농협·신협·수협·산림조합 등 4개 상호금융 중앙회장과 간담회를 열고 업권 발전 방안과 현안 과제를 논의했다.
이 원장은 "횡령과 부당대출을 막으려면 단위조합 내부 견제 장치를 중앙회 차원에서 단일화할 필요가 있다"며 내부통제를 거듭 강조했다. 또 "중앙회가 신용평가모델을 마련해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관리하고, 연체율 상승과 수익성 악화의 악순환을 끊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상호금융은 대형 금융사가 닿지 못하는 사각지대를 담당해왔다"며 "본연의 자금 공급 역할에 집중하고, 지역 공동체를 위한 노력을 계속해 달라"고 당부했다. 금감원은 하반기 중 부실 정리를 지원하고, 중앙회도 노력해 내년부터는 새 출발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이 원장은 아울러 "농협·수협·산림조합의 경우 금융소비자보호법 적용 대상은 아니지만, 자율적으로 소비자보호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중앙회장들은 "지역 1차 산업 종사자와 고령층 등 취약계층 보호에 힘쓰겠다"며 "보이스피싱 24시간 모니터링, 여신 거래 안심차단 서비스 등을 확대하겠다"고 화답했다. 다만 일선 조합의 경영상 어려움을 언급하며 제도적 지원 필요성도 건의했다.
이 원장은 "오늘 제안된 건의사항은 충실히 검토해 감독·검사 업무에 반영하겠다"며 "앞으로도 업권과 적극 소통하며 제도적 보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