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짠富테크] 6·27대책 비껴간 오피스텔…투자 매력 다시 커질까

2025-09-20     차진형 기자
'힐스테이트 동탄역 멀티플라이어' 오피스텔 투시도

[뉴스웍스=차진형 기자] 아파트값 급등과 규제 강화 속에 오피스텔이 대체 투자처로 주목받고 있다. 정부의 6·27 대출 규제에서 제외된 데다 발코니 설치 허용 등 규제 완화가 겹치면서 서울을 중심으로 가격이 꿈틀대는 분위기다.

20일 KB부동산에 따르면 8월 서울 오피스텔 평균 매매가는 3억356만원으로 전달 대비 1.01% 상승했다. 지난 2월 이후 7개월 연속 오름세다. 종로·중구·용산 등 도심권 오피스텔이 0.86% 오르며 전체 상승을 견인했다. 반면 인천과 경기 지역은 약보합세에 머물렀다.

임대수익률은 전국 평균(5.39%)보다 낮은 연 4.8%에 그친다. 하지만 서울은 아파트 전세가격 급등으로 대체 임차 수요가 꾸준히 유입되고 있어 공실 리스크는 낮다는 분석이 많다.

공급 부족도 가격을 떠받치는 요인이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연평균 7만1986실이던 오피스텔 입주 물량은 올해 3만7420실, 내년 1만2310실로 뚝 떨어진다. 서울 역시 10년 평균 1만7141실에서 올해 4456실, 내년 1417실로 급감한다.

전문가들은 "아파트 규제가 강화된 상황에서 오피스텔은 준주택으로 대출 규제를 피하면서 수급 불균형까지 겹쳐 투자 매력이 높아질 수 있다"고 분석한다.

가격 상승 잠재력이 있는 만큼 매입가를 낮추는 전략이 필요하다.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 7월 오피스텔 매각가율(낙찰가율)은 전국 67.1%, 서울 82.2% 수준이다. 시세보다 20~30% 저렴하게 매입할 수 있는 경공매 활용이 투자자 사이에서 각광받는다.

임대 수익을 노린다면 업무·주거 수요가 혼재된 역세권·산업단지 인근이 유리하다. 공실 리스크를 줄일 수 있고, 규모는 300실 이상인 대형 단지가 향후 매각 시 유동성이 높다.

다만 오피스텔은 아파트에 비해 가격 상승 폭이 낮고 거래도 활발하지 않다는 점은 리스크다. 또한 외국인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세컨드홈 세제 혜택 확대 등 정부 정책 변화도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