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올해 한국 1.0% 성장…회복세 지속될 것"

세계경제 성장률 '2.9→3.2%' 상향

2025-09-23     허운연 기자
(자료제공=기획재정부)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을 1.0%로 제시했다.

OECD는 23일 '중간 경제전망'을 발표해 "한국경제의 경우 최근 회복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올해는 1.0%, 내년은 2.2%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6월 전망치와 동일한 수준이다. 한국은행과 정부는 2025년 연간 성장률을 0.9%로 전망하고 있다. 올해 성장률이 1%대를 기록하려면 하반기 성장률이 전기 대비 0.7% 이상이 나와야 한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주요국은 내년이 올해보다 대체로 성장이 둔화되는 것으로 전망됐으나, 한국의 경우 최근 회복세가 지속되며 내년 성장률이 올해보다 크게 높은 것이 특징이다.

OECD는 한국의 물가상승률의 경우 2025년 2.2%, 2026년 1.9%로 전망했다. 6월보다 올해는 0.1%포인트 상향했으나, 내년은 0.1%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한은은 올해 물가상승률을 2.0%로 전망 중이다. 

미국 LA 롱비치항에 입항한 컨테이너선. (사진제공=HMM)

한편 OECD는 세계 경제에 대해 "관세 인상 전 조기선적에 따른 생산 및 무역 증가, 인공지능 투자 등으로 회복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주요국 일부에서 최근 산업생산 및 소매판매 증가세가 둔화됐고 노동시장도 다소 둔화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향후 세계경제 성장률은 올해 3.2%, 내년 2.9%로 각각 전망했다. 6월보다 올해는 0.3%포인트 상향했고, 내년은 기존 전망치를 유지했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의 경우 관세 인상이 추가적으로 시행되고 정책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성장세가 둔화되며 2025년 1.8%, 2026년 1.5%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로존은 완화된 신용 조건이 무역 마찰과 지정학적 불확실성 증가를 일부 상쇄하며 올해 1.2%, 내년 1.0%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일본의 경우 견조한 기업 이익과 투자 증가세가 경제활동에 호재로 작용하며 2025년 1.1%, 2026년 0.5% 성장할 전망이다.

중국은 조기선적 효과 감소, 수입품에 대한 높은 관세 부과, 재정지출 축소로 인해 올해 하반기부터 성장률이 하락하며 2025년 4.9%, 2026년 4.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