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금융시스템 대체로 안정적…PF 부실 확대 유의"
"금리 인하로 채무상환 부담 완화…금융불균형 우려 잠재"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이 안정적인 모습을 유지하고 있으나 부동산 가격 상승세 등 금융불균형 우려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25일 '9월 금융안정 상황'을 통해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은 양호한 금융기관의 복원력과 대외지급능력을 기반으로 대체로 안정적인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6월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 이후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주택가격 상승기대가 유지되고 있어 금융불균형 축적 우려는 여전히 잠재해 있다"며 "취약부문과 장기 업황 부진 산업의 기업 부실 가능성이 확대되면서 관련 익스포저 비중이 높은 금융기관의 건전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미국 관세정책 영향,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 등에 따라 금융시장 가격변수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도 상존한다"고 지적했다.
우선 단기 금융불안 수준을 평가하는 금융불안지수(FSI)는 8월 중 16.5로 증시 호조, 소비심리 개선 등으로 소폭 하락했으나 주의 단계(12~24)에 계속 머물러 있다. 중장기 금융불균형 축적 정도를 나타내는 금융취약성지수(FVI)는 자산가격 상승, 가계대출 증가 등에 따라 6월 말 32.6으로 상승하면서 장기평균 수준에 근접했다.
2분기중 가계대출은 서울 일부 지역의 주택가격 급등, 스트레스 DSR 규제 시행 이전 선수요 등에 따라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전분기보다 확대됐다. 기업대출의 경우 금융기관 신용리스크 관리 강화 등의 영향으로 대기업 및 중소기업 모두 증가세가 둔화됐다.
가계 연체율은 장기 평균에 근접한 수준을 유지하는 가운데 취약차주 비중은 완만한 오름세를 이어갔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소폭 하락했으나 여전히 장기평균을 상회하고 있다. 향후 구조적·경기적 요인에 의한 업황부진이 상당 기간 지속되고 있는 건설, 지방 부동산, 석유화학 등 일부 업종을 중심으로 기업 부실이 확대될 우려가 있다.
금융시장은 신용스프레드 축소 등 리스크 경계감이 낮아지고 투자심리도 개선되면서 대체로 안정적 흐름을 이어가고 있으나 미국 관세정책 영향, 주요국 통화정책 등에 따른 금융·외환 시장의 변동성 확대 가능성과 함께 금융기관의 연말 유동성 관리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한편 부동산시장은 수도권의 경우 주택매매가격 상승세가 확대됐다가 6.27대책 이후 다소 둔화됐고, 비수도권은 하락세가 지속됐다.
7월 이후 서울 주택가격 상승세가 둔화되고 매매거래량도 축소됐으나, 가격 둔화폭은 제한적인 상황이다. 9월 들어 서울 일부 지역에서는 가격 상승폭이 다시 확대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어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시장 불안이 재현될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반면 비수도권에서는 가격 하락세가 상당 기간 지속되면서 주택매수심리와 주택가격 상승기대도 약화되고 매매거래량도 낮은 상황이다.
한은은 "앞으로의 금융안정 상황은 국내외 경제여건의 불확실성, 실물부문 성장세 및 부동산시장 상황 등에 주로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며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금융여건 완화, 정부의 내수진작 정책 등에 힘입어 취약 가계 및 자영업자의 채무상환부담은 점차 완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어 "미 관세인상 영향이 본격화되고 일부 산업의 업황부진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관련 부문을 중심으로 기업의 채무상환능력이 저하되고 금융기관의 건전성 개선 속도가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며 "금융여건 완화 과정에서 부동산시장 및 가계부채의 금융불균형 축적 우려는 여전히 잠재해 있다"고 지적했다.
또 "정부의 부동산 PF 구조조정 진척에도 불구하고 건설 및 지방 부동산 경기부진이 상당 기간 지속되는 만큼 PF 부실의 추가 확대 가능성에도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