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국정자원 화재…모바일신분증 등 70개 정부 서비스 '올스톱'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 화재가 발생해 정부 온라인 서비스가 마비됐다. 국정자원은 정부 전산자원을 통합 관리하는 곳으로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의 정보 시스템과 국가정보통신망 등을 운영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26일 오후 8시 15분께 대전 유성구 소재 국정자원에서 무정전전원장치(UPS) 발화로 추정되는 화재가 발생해 70개의 정부 서비스가 중단됐다고 밝혔다.
UPS는 대용량 배터리를 내장한 전원공급장치로, 정전 등의 원인으로 서버와 같은 전산장비가 멈추는 것을 방지해 준다. 이번 화재의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전산실 리튬배터리에서 불이 났다"는 최초 화재 신고가 접수된 것을 미루어 볼 때, 배터리 발화가 원인이 됐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현장에는 장비 31대와 소방대원 90여 명이 투입돼 진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화재 신고를 한 40대 1명은 경미한 화상을 입고 인근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고, 근무하던 직원 100여 명이 긴급 대피했다.
행안부는 이번 화재로 모바일 신분증과 국민신문고를 포함해 1등급 12개, 2등급 58개 시스템이 지장을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행안부와 기획재정부 등 정부 부처 홈페이지와 정부 온라인 민원서비스 정부 24가 정상 접속되지 않고 있다. 국정자원 사이트 역시 접속되지 않는 상태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화재를 신속히 진압하고 인명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되 서비스 장애 복구를 위해 가용 자원을 최대한 동원해 신속히 복구하라"고 지시했다.
한편, 이번 화재로 정부의 온라인 서비스가 상당 기간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국정자원에서 발생한 화재와 관련해 상황을 보고 받고, 가용한 모든 장비와 인력을 동원해 화재 진압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긴급 지시했다. 아울러 행안부에는 상황전파시스템(NDMS), 모바일신분증 등 국가정보시스템 장애 복구에 가용 자원을 최대한 동원해 신속한 복구 작업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했다. 또한 인명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소방공무원의 안전에 만전을 기하고, 현장 통제 등 안전조치를 철저히 할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