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금융지주, 국정자원 화재 전사적 대응…"대체인증·보안체계 강화"

2025-09-28     정희진 기자
4대 금융지주. (사진=박성민 기자)

[뉴스웍스=정희진 기자] 4대 금융지주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정부 전산 서비스 중단 사태에 대응해 그룹 차원의 위기 대응 체계를 가동했다. 각 그룹은 비상대응 회의 소집, IT 인프라 긴급 점검, 대체 인증 수단 안내 등을 통해 고객 불편 최소화에 나섰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금융은 화재 직후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하고 전 관계사별 전산 인프라 현황을 점검했다. 

주민등록증을 활용한 비대면 실명확인 등 정부 시스템 연계 업무가 중단됨에 따라 모바일 운전면허증 등 대체인증 수단과 이용 가능 서비스 현황을 신속히 안내하고 있다.

KB금융은 지난 26일부터 양종희 회장이 참여하는 비상대응회의체를 가동해 그룹 차원의 상황 점검을 진행 중이다. 은행·증권·카드 등 주요 계열사는 즉각 전산센터와 서비스 현황을 점검하고, 고객 안내 및 대체 수단 마련에 나섰다.

신한은 27일 그룹 리스크 부문장(CRO) 주재 회의를 열고 은행·카드·증권·저축은행 등 계열사와 함께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했다. 내일(29일) 영업점 정상 개시에 대비해 콜센터와 영업점에서 미처리 업무를 신속히 처리할 수 있도록 사전 대응 방안도 마련했다. 그룹 차원에서 전산 장애 발생 시 시스템을 분리·대체 운영할 수 있도록 관리체계도 강화했다.

하나금융도 그룹 CRO 주재 회의를 통해 관계사별 영향도를 점검하고 대응 체계를 마련했다. 그룹 ICT 부문은 중요 전산 체크리스트를 마련해 배포했으며, 전산 복구 지연 상황에 대비한 비상대응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특히 은행장 주재 '국정자원 대응 태스크포스팀(TFT)'을 구성해 화재 관련 업무 영향도를 점검하고, 영업점 응대 매뉴얼을 마련했다. 청라 그룹통합데이터센터 서버 및 UPS(무정전전원장치) 긴급 점검도 실시했다.

우리금융은 화재 직후 그룹 위기대응협의회를 중심으로 전산 영향도를 점검하고, 고객 안내 및 대체 수단을 마련했다. 복구 지연에 대비해 영업점 중심의 보완 절차와 긴급 전산 개발을 준비했으며, 영업 개시 전 회의를 통해 고객 서비스 현황을 재점검할 계획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29일 영업을 안정적으로 개시하기 위해 비상대응 체계를 가동했다"며 "고객 서비스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불편 최소화를 위해 전사적 대응을 이어가겠다"고 전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