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국정자원 화재 현장점검…전·현 정부로 갈라져 책임 공방
민주당 "전 정부, 공공기관 관리 부실" 지적…국민의힘 "현 정부 대응 능력 부족" 비판
[뉴스웍스=정민서 기자]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복구 현장을 찾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여야 의원들이 서버 관리 부실에는 공감했지만, 책임 소재를 두고는 전·현 정부를 겨냥하며 서로 다른 목소리를 냈다.
행안위 소속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의원들은 28일 국정자원을 방문해 화재 현장을 점검한 뒤 별도의 브리핑을 열고 점검 결과를 발표했다.
의원들은 서버와 배터리가 같은 공간에 설치돼 간격도 지나치게 가까워 화재에 취약했다는 점을 공통적으로 지적했다.
신정훈 위원장(민주당)은 "국민들께 불편을 끼쳐 송구하다"며 "현장 점검 결과 리튬이온 배터리 설치·해체 과정에서 매뉴얼과 관리 규정이 제대로 정비되지 않았던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권칠승 민주당 의원은 2022년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를 언급하며 전 정부 책임론을 제기했다. 그는 "판교 화재 이후 서버·배터리 이중화와 재난복구(DR) 시스템 구축을 민간에는 의무화했지만 공공기관은 제외했다"며 "그 결과가 이번 사태로 이어졌다"고 꼬집었다.
이어 "행안부가 실질적 대책 마련을 못 하도록 했다는 말도 있고, 소방청이 화재 위험물 시설 지정을 요구했으나 정부가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반면 국민의힘 의원들은 현 정부의 위기 대응 미흡을 문제 삼았다.
서범수 의원은 "대한민국이 자랑하던 전자정부가 이 지경이 된 것은 개탄스러운 일"이라며 "서버와 배터리가 같은 공간에 있고 이중화와 DR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은 것이 화재 원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또 "정부가 위기 대응 능력을 보여주지 못하고 피해 현황과 복구 일정, 서비스 중단 내용을 국민에게 명확히 알리지 않고 있다"며 "국민 불편을 방치하는 모습"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