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지역 상호금융 부실 확산…"감독 전문화·위험관리 고도화 시급"

부동산 PF·담보대출 부실, 중소기업·농어업권으로 전이 PF 연체 확대→건전성 악화→금리 인상→예금 이탈 '4단계 악순환' 내부통제 강화와 맞춤형 지원체계 '시급'

2025-10-07     김영환 기자

[뉴스웍스=김영환 기자] 광주·전남 지역 상호금융권의 건전성이 산업 전반에 걸쳐 약화되고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 중소기업과 농어업 등 실물경제로 전이되면서 지역 금융시스템의 구조적 취약성이 드러났다는 분석이 나온다.

금융위원회와 국회 정무위원회가 공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전국 새마을금고 평균 연체율은 8.37%로 집계됐다. 광주·전남 지역은 7.85%로 전국 평균에 근접했으나 전체 금고의 24.49%가 '위험금고'로 분류됐으며 순자본비율은 23.2%에 불과했다. 자본적정성 악화가 지속될 경우 지역경제의 신용 기반이 흔들릴 가능성이 높아진다.

부동산 PF 부실은 산업별 금융 불안의 핵심 원인으로 지목된다. 2023년 2금융권 PF 연체율은 3.5%였으나 2024년 10월 기준 비은행권 PF 대출 잔액은 48조원, 연체율은 22%에 달했다. 특히 전남의 토지담보대출 연체율은 28.06%로 전국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PF와 담보대출 비중이 높은 지역 건설업체들은 금리 상승과 채권 회수 지연에 따른 추가 금융비용 부담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 광주·전남의 토지담보대출 연체율은 11.04%로 전국 평균(15.33%)보다 낮지만 사업성 저하와 금융회수 지연이 중장기적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지역 건설업계 관계자는 "토지 매입 자금이 사업 지연의 가장 큰 리스크 요인"이라며 "연체 누적은 중소건설사의 유동성 위축으로 직결된다"고 설명했다.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의 자금조달 불안도 심화되고 있다. 상호금융권 예금담보대출 연체 잔액은 9787억원으로 추산되며 대손충당금 확충과 금리 인상 압력이 겹치면서 중소기업의 자금 부담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광주상공회의소 관계자는 "운전자금 확보가 지연되면 설비투자와 고용까지 위축되는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농어업 분야도 신협을 중심으로 금융 리스크가 확산되고 있다. 광주·전남 지역의 농어민 대출 연체율은 전국 평균(7.08%)을 상회하는 7~8% 수준으로 나타났다. 일부 신협에서 발생한 횡령·문서 위조 사례는 금융기관 신뢰도 하락과 계절성 생산자금 지원 축소로 이어질 가능성을 키운다. 전문가들은 "내부감사 시스템 미비가 농어민 금융 접근성을 약화시키고 있다"며 "신협 중심의 통합 리스크 관리 체계 도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상호금융권의 산업 간 연계 구조는 부실 전이를 가속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PF 연체 확대 → 상호금융 건전성 약화 → 기업 자금난 및 이자 부담 상승 → 예금 이탈이라는 '4단계 악순환 구조'가 형성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금융 전문가들은 "감독 공백과 내부통제 한계가 결합되며 지역 단위 금융 리스크가 전국적 파급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광주·전남 금융당국은 상호금융권의 자산 건전성 저하가 지역경제 전반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산업별 리스크 관리 체계 구축과 내부감사 프로세스 재편을 추진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PF·담보대출 실태점검을 강화하고 지역별 취약산업에 대한 맞춤형 자금지원 방안을 검토 중이다. 지역 금융 전문가들은 "금융 구조 개선이 병행될 경우 광주·전남 상호금융권은 장기적 회복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지역 금융 관계자는 "새마을금고 감독 권한을 금융위원회로 이관해 전문 감독 인력을 확보하고 PF·담보대출 리스크를 차등 관리해야 한다"며 "중소건설사와 농어민을 위한 전용 보증·대출 프로그램 신설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내부통제 고도화를 통한 신뢰 회복도 필수 과제로 꼽힌다"고 강조했다.

또다른 한 금융 전문가는 "감사 주기 단축과 전산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통해 감사 사각지대를 최소화해야 한다"며 "상호금융의 안정적 예금 기반은 지역경제 회복의 핵심 축"이라고 말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