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벨트 '토허제' 묶이나…이번주 '추가 부동산 대책' 예고

서울 59㎡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10억 돌파…개포 20억

2025-10-13     허운연 기자
(자료제공=직방)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올해 서울 전용 59㎡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1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서울 중심의 아파트값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정부도 이번주 추가 대책을 내놓기로 했다. 

13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5년 9월 말 기준 서울 전용 59㎡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0억5006만원으로 집계됐다. 작년(9억7266만원)보다 약 8% 올랐다.

자금 여건과 가구 구조 변화 등을 반영해 전용 59㎡의 수요가 빠르게 늘면서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는 모습이다. 전용 59㎡ 아파트는 젊은 세대와 3인 가구 등 실수요층의 선호가 꾸준히 이어지는 인기 평형이다.

구별로 변동률을 보면 전년 대비 강남구가 16.7% 올라 상승폭이 가장 컸다. 또 마포구(15.9%), 송파구(15.8%), 강동구(13.9%), 성동구(13.7%), 광진구(11.0%) 등 '한강벨트' 중심으로 거래가격 상승이 두드러졌다.

특히 강남구 전용 59㎡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20억원이 넘었다. 20억8570만원으로 작년(17억8706만원)보다 3억원(16.7%) 가까이 올랐다. 동별로는 개포동이 20억5302만원에서 25억2137만원으로 22.8% 상승하며 가장 많이 올랐다. 삼성동(20억6220만원)과 역삼동(22억8224만원)도 각각 17.9%, 16.5% 올랐다. 대치·개포·압구정 등 주요 고가 아파트 단지가 밀집돼 있어 13개 동 단위(법정동 기준) 중 5개 동의 전용 59㎡ 평균 매매가격이 20억원을 넘어섰다.

반면 서울 외곽 지역의 상승폭은 제한적이었다. 도봉구의 전용 59㎡ 평균 매매가격은 5억4894만원으로 작년(5억3974만원)보다 1.7% 상승했고, 중랑구는 5억8722만원으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다.

금천구의 전용 59㎡ 평균 매매가격은 6억913만원으로 1.8%, 종로구는 11억3978만원으로 5.5% 각각 내렸다. 두 지역 모두 새 아파트나 역세권 랜드마크 단지보다는 저가 단지 거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면서 평균 가격이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서울의 주택·아파트단지 전경. (사진=뉴스웍스DB)

한편 당정은 추가 부동산 대책 발표를 예고했다. 전날 더불어민주당과 정부, 대통령실은 고위당정협의회를 열고 부동산 관련 대책을 논의했다.

박수현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관련 브리핑에서 "당정은 최근 서울 및 경기도 일부 지역의 주택시장 동향을 논의했고, 시장상황을 엄중하게 모니터링 해야 할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공유했다"며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근본적이고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말했다.

이재명 정부 출범 후 가계대출 규제와 부동산 공급 대책을 잇따라 내놨지만 서울 중심의 집값 상승세가 계속되면서 추가 대책을 이번주 내에 내놓기로 했다.

투기과열지구 및 토지거래허가구역 등 규제지역 확대와 추가 대출 규제 등의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특히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에 내년 말까지 적용되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성동·마포·광진구 등 한강벨트 지역으로 확대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경기 과천, 성남 분당도 규제지역으로 묶일 가능성이 있다.

실제 이들 지역의 아파트값 상승폭은 확대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9월 다섯째 주(9월 29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직전 주 대비 0.27% 올라 올랐는데 강북의 한강 벨트 대표 권역인 성동구·광진구·마포구의 상승폭 확대가 두드러졌다.

광진구의 주간 상승률은 0.65%로, 한국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2년 5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성동구(0.78%)도 직전 주와 비교해 오름폭이 0.19%포인트 확대됐고, 마포구(0.69%)도 상승률을 0.26%포인트 키웠다. 

경기도에서는 성남시 분당구(0.97%)가 직전 주 대비 상승폭을 0.33%포인트 확대하며 높은 수준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과천시(0.54%)도 같은 기간 오름폭이 0.31%포인트 커졌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