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시스템, 425 사업 '마지막 SAR 위성' 탑재체 공급
대한민국 독자 감시정찰 시대 열어
[뉴스웍스=안광석 기자] 국방과학연구소가 개발을 주관하는 군 정찰위성인 ‘425 위성’ 마지막 5호기가 지난 2일(현지 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너베럴 우주군 기지에서 스페이스X의 팰컨-9 발사체에 실려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한화시스템은 지난 2018년부터 ‘합성개구레이다(SAR) 위성’의 핵심으로 꼽히는 ‘SAR 센서’와 ‘데이터링크’ 제작에 참여, 앞서 발사된 2·3·4호기에 이어 이번에 발사된 5호기까지 ‘SAR 탑재체’를 안정적으로 공급했다고 3일 밝혔다.
SAR는 지상이나 해양에 레이다파를 순차적으로 쏘아 반사되는 신호를 합성해 주·야간 및 기상 조건에 관계 없이 지형을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최첨단 센서 기술이다. 이로써 주·야간 및 악천후에도 한반도와 주변 지역을 상시 감시·정찰할 수 한국형 킬체인의 핵심인 감시정찰위성망이 성공적으로 구축됐다. 이는 대한민국이 독자적인 군 정찰위성 운용국으로 도약했다는 상징적 의미가 있다.
425 사업은 전자광학·적외선(EO·IR) 위성 1기와 SAR 위성 4기 총 5기로 구성된 대한민국의 첫 군(軍) 정찰위성 개발 사업이다. ‘SAR(사)’와 ‘EO(이오)’를 합성해 비슷한 발음의 숫자인 ‘425’로 표현했다.
방위사업청이 사업주도를, 국방과학연구소가 개발을 주관하고, 한화시스템은 위성의 핵심 장비인 SAR 탑재체를 제작 및 공급했다. 앞서 발사된 위성들이 해외 선진 기업과의 기술 협력을 통해 제작된 것과 다르게, 이번에 발사된 5호기는 SAR 탑재체 조립·통합·시험, SAR 센서의 전자부와 데이터링크 등 핵심 분야에서 국산화를 이뤘다.
한화시스템은 향후 SAR 탑재체의 완전 국산화를 위해 해외 의존도가 높고 선진국이 기술 공개를 기피하는 품목인 반사판 안테나·급전 배열 조립체를 국내 개발 중이다. 이러한 기술 자립은 국가 안보와 우주산업 경쟁력 차원에서 큰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송성찬 한화시스템 우주사업부장은 “앞으로도 한화시스템은 기존 위성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가 안보 역량 강화와 국방우주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