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국무부 부장관 "韓 전문가 절실, 비자제도 개편 중"
"미 노동자 훈련 위한 韓 근로자 입국 환영" "지속 가능한 장기적 동맹은 양방향이어야"
[뉴스웍스=안광석 기자]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자국 제조업 육성을 위해 한국 근로자들에 대한 비자규제 완화를 시사했다.
15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크리스토퍼 랜도 미국 국무부 부장관은 14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애틀랜틱카운슬·코리아소사이어티 공동 주최로 열린 밴플리트 정책 포럼에서 “우리는 조선·에너지·반도체·AI 기술 등 주요 분야에서 한국의 투자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랜도 부장관은 “이런 투자가 실제로 작동하게 하고 정밀 제조시설을 운영하는 방법을 미국 노동자들에게 가르쳐줄 수 있는 한국 전문가들을 임시 비자로 미국에 보낼 수 있도록 한국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한국과 미국은 정상회담을 계기로 타결한 무역·안보 합의 결과가 담긴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를 전날 발표했다.
랜도 부장관은 지난 9월 조지아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공장 건설 현장에서 미 당국의 이민 단속으로 한국인 300명 이상이 체포·구금됐던 사건과 연계해 팩트시트에 담긴 제조업 협력을 제대로 이행할 것을 다짐했다.
랜도 부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고정밀 분야 일자리에서 미국 노동자들을 훈련하기 위해 한국인들이 미국에 오는 것을 환영한다”며 “분명한 것은 우리 경제에 큰 투자를 하라고 요청하면서 동시에 그 투자를 실제로 구현할 사람들을 미국에 보내지 말라고 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그에 따르면 현재 트럼프 행정부는 주한미국대사관에 한국 투자·통상 데스크를 신설하고 미국 비자 제도를 개편해 미국의 이민법에 부합하도록 한국 전문가들이 미국에 와서 노동자들을 훈련할 수 있도록 해주는 새 비자 카테고리를 마련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랜도 부장관은 이어 “조선 분야는 우리 국가 안보에 핵심적인 산업으로 한국의 도움을 기대하고 있다”며 “지속 가능한 장기적 동맹은 양방향이어야 하며 서로가 혜택을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