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강도 규제도 '무색'…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4주 만에 다시 '꿈틀'
[뉴스웍스=문병도 기자]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잠시 진정되는 듯했던 서울 아파트값이 최근 다시 상승 폭을 넓히고 있다.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강경책에도 가격 상승이 이어짐에 따라, 정부의 고민은 더 커질 전망이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셋째 주(11월 17일 기준) 주간 통계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20% 상승하며 오름세가 커졌다.
대책 발표 직후였던 10월 셋째 주에 0.50%로 정점을 찍은 후 상승률이 지속적으로 둔화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최근 4주 만에 다시 확장된 것이다. 부동산원은 재건축 기대감이 있는 단지나 주거 환경이 우수한 아파트를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지면서 전반적으로 가격이 오르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역별로는 성동구(0.43%)와 송파구(0.53%), 용산구(0.38%) 등이 두드러진 상승세를 보였고, 강남·서초·강남구 역시 모두 오름폭이 확대됐다. 반면 서울 외곽 일부 지역 역시 소폭 상승했지만 중심지 대비 변화는 제한적이었다.
경기도는 전체적으로 0.11% 상승하며 전주보다 흐름이 강해졌으나 지역별 온도 차가 뚜렷했다. 과천, 분당, 하남 등은 상승률이 둔화된 반면, 의왕시(0.38%)는 약 4년 만의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고, 수정구·중원구·광명·수지 등도 강한 상승 흐름을 보였다.
비규제지역 중 화성시는 '풍선효과'영향으로 상승세가 더욱 강화된 반면, 구리·기흥 등은 오름세가 다소 누그러졌다.
전세시장에서도 전국적으로 0.08% 상승해 전주와 같은 흐름을 이어갔으며, 서울은 3주 연속 0.15% 상승률을 기록했다. 역세권·학군지 등 선호 지역 중심으로 전세 매물이 부족해지면서 가격을 밀어 올린 것으로 풀이된다.
이런 아파트값 상승은 수도권 공급 부족에 대한 수요자들의 불안 심리가 해소되지 않은 것에 기인한다. 여기에 집값이 쉽게 내려가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이어진 결과로 풀이된다.
한편, 이날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신속한 주택공급을 위해 합동전담조직(TF)을 출범했다.
현판식에 참석한 국토부 김윤덕 장관은 "주택공급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달라"고 당부한 뒤 "국토부는 추가 주택공급 의지를 갖고 있는 만큼, 연내 추가 주택공급 대책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부에서 추진하다 좌절된 지역, 노후 청사 재건축,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 해제 가능성까지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다만 준비가 미비한 상태에서 후보지를 발표하면서 시장의 신뢰를 상실한 전례들이 있어 신중하게 결정하겠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9·7 주택공급 대책에 따라 내년부터 2030년까지 5년간 수도권에 135만가구를 착공하는 목표 달성을 위해 20개 입법 과제를 포함한 후속조치를 이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