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호남을 말하다] 스물부터 마흔까지 '청년정책'…누구 위한 정책인가

2025-11-21     우수한 기자
박창현 더불어민주당 광주광역시당 청년부위원장.

요즘 정책 보고서, 공청회, 토론회 그 어디에서도 '청년정책'이라는 단어가 빠지지 않는다. 하지만 이따금 이런 질문을 스스로 던지곤 한다. "청년이란 도대체 누구인가?"

법적으로 청년은 만 19세부터 만 40세까지를 아우른다. 스무 해 남짓한 이 긴 시간 속에는 정말이지 너무나 다른 인생의 풍경들이 펼쳐져 있다. 대입을 준비하는 스무 살, 군 입대를 앞둔 스물한 살, 복학 후 학자금 대출에 허덕이는 스물다섯 살, 첫 직장에서 온갖 눈치를 보며 버티는 스물여덟 살, 결혼과 주거 문제로 고민하는 서른세 살, 그리고 육아와 일을 동시에 해내는 서른여덟 살까지. 이토록 다양한 삶을 오직 '청년'이라는 하나의 단어로 묶어 '청년정책'이라는 이름 아래 해결할 수 있을까. 솔직히 어렵다고 생각한다.

'청년정책'은 결코 하나의 분야가 아니다. 그 안에는 교육, 고용, 주거, 복지, 문화, 그리고 정치 참여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영역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행정은 청년을 '하나의 통일된 대상 집단'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으며, '청년 일자리 정책', '청년 주거 지원' 같은 이름으로 이 모든 연령대를 하나의 틀 안에 묶어버린다.

그 결과, 어떤 정책도 누구에게도 진정으로 와닿지 못하고, 그저 공허한 이름으로 남는 경우가 많다. 정책 대상이 '청년 전체'로 너무나 포괄적이다 보니, 결국 어느 누구도 자신의 문제로 인식하기 어려운 현실인 것이다.

정책은 단순히 나이를 기준으로 삼기보다는, 삶의 단계와 마주하는 문제의 유형에 따라 더욱 세분화해야 한다. 19~24세는 진학, 병역, 진로 탐색의 시기이며, 25~30세는 사회 진입과 취업, 주거 불안을 겪는 시기다. 30~35세는 결혼과 재정 문제로, 35~40세는 가족과 일의 균형을 고민하는 시기로, 완전히 다른 인생의 국면에 서 있다. 지금의 청년정책은 이러한 세밀한 현실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더욱 근본적인 문제는 청년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낼 여유가 없다는 점이다. 아침 일찍 출근하고, 밤늦게까지 야근에 시달리며, 주말에는 다시 자격증 공부에 매달린다. 어떤 이는 학자금 대출을 갚기 위해, 또 어떤 이는 생활비를 벌기 위해 아르바이트 두세 개를 병행하기도 한다.

청년들이 정치에 무관심해서가 아니라, 너무나 바쁜 삶 속에서 정치에 다가갈 틈이 없는 것이다. 그런데도 정치권은 종종 "너희가 먼저 말해야 정책이 나온다", "투표도 안 하면서 뭘 바라느냐", "청년들이 스스로 나서야 바뀐다"고 요구한다. 하지만 냉정하게 말해, 지금의 청년들에게 '말할 시간'은 사치에 가깝다. 그 시간에 영어 단어 하나를 더 외우고, 포트폴리오를 업데이트하고, 자기계발에 힘쓰는 것이 생존에 더 직결된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정치가 청년에게 무엇을 묻기 전에, 먼저 청년의 현실을 깊이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청년들의 침묵은 무관심이 아니라, 삶의 여유가 없다는 분명한 신호다. 청년정책이 진정으로 청년들에게 와닿으려면, '청년의 대표성'보다는 '청년의 다양성'에 주목해야 한다.

80년대생과 90년대생의 고민이 완전히 다르듯이, 스물다섯 살과 서른다섯 살의 문제의식은 겹치지 않는다. 20대에게는 사회 진입의 기회가 중요하고, 30대에게는 안정성이, 그리고 40대에 가까운 청년들에게는 삶의 지속가능성이 간절하다. 행정이 이러한 차이를 세밀하게 구분하지 못한다면, 결국 '평균적인 청년'만을 위한 정책이 만들어질 수밖에 없으며, 안타깝게도 그런 청년은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다.

정책은 대상의 이름이 아니라, 문제의 핵심과 흐름에 맞춰 설계되어야 한다. 단순히 '청년정책'이라 부르기보다는 '첫 사회 진입기 지원', '직장 적응기 복지', '가족 형성기 주거 안정'처럼, 삶의 단계에 따른 맞춤형 접근으로 전환해야 한다. 광주가 청년이 진정으로 머물고 싶어 하는 도시가 되려면, 그저 몇십만원의 지원금이나 창업 공간을 늘리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청년들은 돈 때문에 도시를 떠나는 것이 아니라, 이 도시에서 자신의 인생이 성장할 수 있다는 '확신'이 없기 때문에 떠나는 경우가 많다.

그 확신은 바로 '정교한 정책'에서 나온다. "내가 지금 이 단계에서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 "이 지역이 나의 다음 5년을 함께 설계해줄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명확한 그림을 보여줄 수 있어야 청년은 기꺼이 이곳에 머물게 될 것이다. 정책이 모든 청년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각 단계의 청년들에게 "당신의 문제를 깊이 이해하고 있다"라는 세밀한 신호를 보내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다. 그리고 그것이 바로 신뢰를 쌓고, 청년들이 이 도시에 머무는 진정한 이유가 될 것이다.

[박창현 더불어민주당 광주광역시당 청년부위원장]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