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희 삼성준감위원장 "신설 사업지원실, 준법 문제 있을지 지켜볼 것"

2025-11-25     채윤정 기자
지난 8월 26일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이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사옥에서 열린 준감위 정례회의에 앞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뉴스1)

[뉴스웍스=채윤정 기자] 이찬희 삼성준법감시위원장이 신설 '사업지원실'에 대해 "아직 어떻게 운영되는지 알지 못하는 상황"이라면서 "준법 영역에서 문제 되는 부분이 있을지 계속 주의 깊게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25일 오후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열린 3기 준감위 정례회의에 앞서 취재진에게 "(이번 삼성전자 임원 인사는) 지금까지 이재용 회장의 사법 리스크 때문에 기술 추구에 적극 나서지 못했던 부분이 있지 않겠느냐는 생각을 '제3자' 입장에서 하게 된다"며 "삼성이 기술 인재를 중요시하는 인사를 단행한 것은 당연하다"고 입장을 밝혔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에 대해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삼성전자 관계사인 삼성물산이 최대 주주이지만, 자회사는 아니다. 상법상 자회사에 대해서 모회사가 감사할 수 있는 권한이 사실상 현재 지분 구조로는 없다"면서 "대신 삼성물산이 저희 관계사인 만큼,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주의 깊게 바라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오늘 위원회에서 한번 차기 안건으로 (삼성준법감시위원회가) 이 문제를 다룰지 논의하겠다"고 언급했다. 

삼성전자에서도 정보 유출 문제가 불거진 것에 대해서는 "정보 유출이 시스템 문제인지, 아니면 과실인지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말하기 어렵다"며 "정보 보호는 상당히 중요한 영역이기 때문에 혹시라도 위법한 영역에서 이뤄지는 게 아닌지 살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 건에 대해서는 "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이나 위원회 전체 입장이 아닌 개인의 입장으로 말한 것"이라며 "제 신념에 변화가 있을 만한 특별한 이유는 아직 없다. 등기이사직에 복귀해야 한다는 생각을 유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책임경영이라는 측면에서는 많은 위원이 공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준감위 3기 체제를 마지막으로 자진 해체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자진 해체를 저희가 결정할 것은 아니다"라며 "얼마나 삼성 내에서 준법 감시와 준수가 체질화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고 답했다. 이어 "준법감시위원회는 삼성 내에 완전한 준법체계가 자리 잡으면 자기 소멸을 향해 가는 조직"이라고 설명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