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2.06.07 12:30

행안부, 5년간 추진할 주소정책 마련…1조대 주소정보산업 창출

(자료제공=행정안전부)
(자료제공=행정안전부)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정부가 스마트 주소정보 플랫폼을 구축해 인공지능 로봇 배송을 촉진시키로 했다.

행정안전부는 '도로명주소법'에 근거해 향후 5년간(2022~2026년) 주소정책의 비전과 추진방향을 담은 '제1차 주소정보 활용 기본계획'을 수립·시행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 기본계획은 모든 국토의 이동경로와 접점이 보다 촘촘하게 연결되도록 주소정보 기반시설을 2배 이상 확충하고 주소정보기반의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 생태계를 구축해 1조원대의 주소정보산업 창출을 목표로 한다.

향후 5년간 추진할 주소정책의 기본방향을 살펴보면 먼저 사람과 로봇 모두에게 고루 인식되는 촘촘한 주소정보 인프라를 2배 이상 확충한다.

현 지상도로 중심에서 고가, 지하 등 입체도로와 지하상가 등 내부도로, 승강기 등 실내 이동경로 등으로 국가주소정보를 확충한다. 신규 건물·사물주소를 발굴하고 도로변 공지 등 공간주소(공터) 도입해 전 국토 대상 주소표시 체계를 완비한다. 주소정보는 생활과 행정에서 사용되는 장소의 단위 인프라로 촘촘할수록 다양한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다.

또 사람과 지역에 상관없이 고른 주소정보를 부여하고 주소활용 취약계층과 지역의 격차를 해소할 계획이다. 사람의 왕래가 적은 지역에도 주소체계를 마련해 지역 주민의 생활과 관계인구의 방문 편의를 높일 방침이다.

농로, 임로, 방파제 등 농·어촌 도로명을 2배 확충하고 도로명 주소가 부여되지 않은 사업장에도 개별주소를 부여한다. 특히 인근 산책로 8579개 구간에 도로명을 부여하고 해수욕장과 강변 등에는 배달 안전존을 구성한다. 푸드트럭 등 시간개념 주소도 도입한다.

정부는 미래 새로운 산업군으로 1조원대 주소정보산업 창출도 지원키로 했다. 주소기반 혁신서비스에 공동으로 사용되는 인프라를 공공부문에서 구축해 제공함으로써 기업의 공통비용 절감을 지원한다. 한국 주소 국제 표준화 및 해외 진출 지원 등 K-주소 브랜드화도 추진한다.

한편 최상위 데이터로서 주소정보를 유통하고 융·복합하여 응용할 수 있는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 생태계도 조성한다. 영상이나 사진을 이용한 변화 탐지 기술, 인공지능을 이용한 주소 자동 부여, 지식그래프를 이용한 장소 지능화 기술 등 첨단기술이 도입된다.

이를 통해 비닐하우스에서 일하면서도 정확한 위치로 배달을 받을 수 있게 되고 로봇·드론 배송, 전동 휠체어 내비게이션, 실내 내비게이션 등 새로운 서비스와 지식그래프를 통한 장소 분석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주소가 물리적 위치를 알리는 것을 넘어 사람과 인공지능 간 위치 소통 수단이자 현실과 가상세계를 연결하는 매개체로 기능이 확대되고 있다"며 "디지털시대에 맞는 주소정보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 생태계 조성을 통해 주소정보산업을 활성화하고 관련 분야에서 좋은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