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박경보 기자
  • 입력 2017.10.24 18:04

김수민 의원 "16년 간은 어디에 저장하나"

고리 원자력발전소 1~4호기의 전경 <사진제공=한국수력원자력>

[뉴스웍스=박경보 기자] 사용후 핵연료 저장시설의 포화가 빠르면 2019년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중간저장시설 운영까지 최소 16년의 공백기가 발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수민(국민의당, 비례) 의원이 한국수력원자력으로부터 제출받은 ‘국내 원전 수조의 포화시기와 조밀저장의 도입’ 자료에 따르면 사용후 핵연료 수조가 2019년에서 2038년이면 포화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사용후 핵연료는 높은 수준의 방사능과 붕괴열을 가지고 있어 원자로에서 꺼낸 후 수조에 넣어 최소 6년(중수로)~10년(경수로) 이상 냉각시킨다. 수조가 포화돼 사용후 핵연료를 더 이상 보관하지 못하면 원자로 내의 핵연료 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원전을 멈춰야 한다.

그러나 경수로 원전은 이르면 2028년(고리), 늦어도 2038년(신월성)에 수조가 포화될 예정이다. 특히 부지 내에 임시 건식 저장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중수로(월성)는 더 심각해 2019년이면 포화에 이를 전망이다.

더 큰 문제는 핵연료의 중간저장시설 운영이 빨라야 2035년부터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지난해 7월 정부가 발표한 ‘고준위 방폐물 관리 기본계획’에 따르면 2028년 관리시설부지를 확보한 뒤 2035년에 중간저장시설 및 인허가지하연구시설이 운영될 예정이다. 이후 2053년에 처분시설이 운영된다. 이에 따라 월성 건식저장시설 포화 예정인 2019년부터 16년의 공백이 예상된다.

핵연료 중간저장시설의 시설확보 일정에서 부지 선정에만 총 12년이 소요될 예정이다. 고준위 방폐물 관리는 장기적인 지질 및 처분시스템 안전성 입증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원자력환경공단 측은 전담인력 확보와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이 원자력환경공단으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으로 부지조사 인력은 단 3명에 불과하다.

김 의원은 “2004년 한수원의 중저준위 처분장 부지조사 당시 전담인력이 37명이었는데 현재 사용후 핵연료 처분시설 부지조사 인력은 단 3명에 불과하다”며 “이미 16년이나 늦은 상황에서 인력과 예산을 집중해 인정을 단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질 및 처분안전성 입증을 위한 기술개발과 관리시설 적기 건설을 위해 시설 설계, 지하연구시설 운영, 품질 등의 분야에 2025년까지 적어도 120명까지 증원이 필요하다”고 대책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