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양민후 기자
  • 입력 2018.01.12 09:25
공청회에 참석한 패널들이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뉴스웍스=양민후 기자] 보건복지부는 11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2차 보건의료기술육성 기본계획에 대한 대국민 공청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복지부는 향후 5년간 보건의료 연구개발(R&D)분야가 나아갈 방향과 해결해야 할 과제들에 대해 토론했다.

이번 공청회에서 발표된 기본계획의 주요내용은 공익성과 개방성 강화, 그리고 일자리 창출로 요약된다.

복지부는 치매, 정신건강, 감염병, 미세먼지로 인한 질병 등의 치료지원을 늘려 공익성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고비용 보건의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적 연구개발 대응체계도 준비중이라고 밝혔다. 정밀의료와 희귀질환에 대한 지원도 강화해 환자에게 더 나은 치료환경을 제공할 예정이다. 목표는 국민의 건강수명을 2022년까지 3살 늘려 76세로 연장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복지부는 각 공공기관이 보유한 보건의료 빅데이터 자료들을 국민과 연구자에게 개방해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빅데이터의 공유가 R&D 분야가 성장하는데 있어 핵심사항이라고 분석했기 때문이다. 또 외국기관과의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해 공동연구 주선 등에 나설 계획이다.

신약, 의료기기, 인공지능, 그리고 화장품 등 다양한 보건의료분야가 활성화되면, 2022년까지 10만개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복지부는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고비용 보건의료문제에 대한 전략적 R&D투자 계획, 통일 시 예상되는 남북한 주민간의 건강형평성, 예방과 관리 중심의 미래의료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 등은 앞으로 복지부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았다.

토론회에 참석한 서울대병원 강건욱 과장(핵의학)은 “정밀의료와 관련해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며 “개인의 흩어진 정보를 찾아볼 수 있는 통합적인 플랫폼이 없고, 개인정보보안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보건의료 빅데이터 양성을 위해 시민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부족해 이번 계획을 실행함에 있어 난관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고려대 김명곤 교수(의과대)는 “3차 기본계획에는 정권과 상관없이 목적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명확한 체계가 필요하다”며 “앞으로 시행될 인공지능 관련 의료서비스에 대한 대국민적인 공감대와 합의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보건복지부 임강섭 보건의료기술개발 서기관은 “2차 계획을 실행함에 있어 중요한 점은 각 부처의 협력”이라며 “빅데이터 공유와 각 부처별로 설정한 규제에 대해 이해심을 바탕으로 최대한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