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19.12.12 14:32
(자료=금융감독원)
(자료=금융감독원)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금융감독원은 채권은행이 2019년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통해 210개사(C등급 59개, D등급 151개)를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20개사가 증가한 수준이다. 먼저 대기업(신용공여 500억원 이상)중에서 부실징후기업은 9개로 전년보다 1개 줄었다. 주요 업종 구조조정 마무리 등에 따라 부실징후기업이 2018년 크게 감소한 뒤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2019년 대기업 C등급은 3개, D등급은 6개이다. 

반면 중소기업은 실적이 소폭 하락한 가운데 세부평가대상 기업 수가 전년 대비 크게 늘면서 부실징후기업 수도 증가했다. 중소기업의 부실징후기업은 201개로 21개 늘었다. C등급은 56개, D등급은 145개 수준이다. 

업종별로 보면 기계장비(35개사), 부동산(19개사), 자동차부품(17개사), 금속가공(17개사), 도매‧상품중개(14개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반적인 업황 부진 등으로 관련 기계 및 장비제조업이 15개 급증했고 부동산(5개), 자동차부품(3개), 건설(3개), 전자(1개) 등의 업종도 소폭 늘었다. 반면 조선(-7개), 금속가공(-5개), 철강(-5개), 도매·상품중개(-4개) 업종은 감소했다.

한편,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액은 3조3000억원 수준이다. 은행권이 2조4000억원으로 대부분(72.7%)을 차지했다.

부실징후기업 여신에 대한 자산건전성을 재분류하면 은행권의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예상액은 약 1735억원으로 추정된다. 대기업은 693억원, 중소기업은 1042억원이다.

다만 국내은행의 손실흡수 능력 등을 감안하면 은행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대손충당금 추가적립 시 국내은행 BIS 비율은 0.01%포인트 하락하게 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부실징후기업(C‧D등급)으로 선정된 기업들에 대해서는 워크아웃·회생절차 등을 통해 신속한 경영정상화 및 부실정리를 유도하고 채권은행이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했으나 워크아웃 등 관리절차를 신청하지 않은 기업에 대해서는 사후관리를 강화토록 지도할 것”이라며 “일시적 경영 애로를 겪고 있는 기업에 대해서는 위기극복 및 경영정상화를 적극 지원토록 유도하고 기업의 조속한 경쟁력 회복을 위해 채권은행 등이 유동성지원, 경영애로 상담 및 컨설팅 등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