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박지훈 기자
  • 입력 2019.12.17 14:43

통계청 "근로소득 줄었지만 공적이전소득 급증 덕분…전체 가구 부채 증가 속도가 자산 증가 속도보다 빨라"

(자료=통계청)
(자료=통계청)

[뉴스웍스=박지훈 기자]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성장 등 소득재분배 정책으로 저분위 가구의 소득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업소득은 최저임금 상승으로 인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이 17일 한국은행, 금융감독원과 함께 발표한 ‘2019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가구의 평균 자산은 4억3191억원으로 전년보다 2.7% 증가했다.

같은 기간 평균 부채는 7910만원으로 3.2% 증가했다. 지난 1년간 부채 증가 속도가 자산 증가 속도보다 빠른 셈이다.  

이에 전체 가구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18.3%로 전년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저축액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73.1%로 1%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가구의 평균 소득은 5828만원으로 전년(5705만원)보다 2.1% 늘었다. 최저임금 상승 등 정부의 소득주도성장 영향으로 근로소득이 증가한 결과다.

가구소득 중 근로소득은 3781만원으로 3.9% 증가했지만 사업소득은 1177만원으로 5.3% 감소했다. 가구소득 대비 근로소득 비중은 64.9%로 1.1%포인트 증가한 반면 사업소득 비중은 20.2%로 1.6%포인트 감소했다.

저소득층 소득 증가세가 두드러지기도 했다. 1분위 가구의 평균 연 소득은 1104만원으로 전년(1057만원)보다 4.4% 증가했다. 2분위(2725만원)와 3분위(4577만원) 가구는 2.5%, 4분위(6977만원)는 2.2% 늘었다.

5분위 가구의 평균 연 소득은 1억3754억원으로 전년(1억3520만원)보다 1.7%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에 5분위 가구의 소득 점유율은 47.2%로 전년 대비 0.2%포인트 감소한 반면 1분기와 3분위 점유율은 각각 0.1%포인트씩 증가했다.

소득 증가율은 연령별로 보면 30세 미만(5.3%)에서 가장 높고, 가구주 종사상 지위별로는 상용근로자(3.8%), 기타(5.7%)에서 높았다.  

하지만 정부의 복지재정정책이 없었다면 저분위의 총 소득 증가는 어려웠을 것으로 보인다. 1분위 가구의 평균 근로소득은 302만원으로 전년보다 8% 줄어든 반면 공적이전소득은 438만원으로 11.4% 늘었다. 2분위 근로소득은 1468만원으로 1.7% 늘어난 데 그쳤으며 이들의 공적이전소득은 423만원으로 8.5% 늘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