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고종관 기자
  • 입력 2020.07.17 11:49

복지부와 농진청 손잡고 어르신 치매 예방 및 삶의 질 개선에 앞장

서울시농업기술센터에서 운영하는 치유농업 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르신들.(사진=서울시농업기술센터 블로그에서 캡처)
서울시농업기술센터에서 운영하는 치유농업 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르신들.(사진=서울시농업기술센터 블로그에서 캡처)

[뉴스웍스=고종관 기자] 전북 고창군 소재의 농업기술센터는 어르신들을 위한 ‘다시 꽃피울 정원’을 운영하고 있다. 활동 부족으로 근육이 쇠약해지고 인지력이 떨어지는 어르신을 위한 치유농업 프로그램의 일환이다. 농사에 참여시켜 소근육을 사용케 하고, 칭찬거리 찾기와 기억력 게임을 통해 치매를 예방하는 것이 목적이다.

경기도 부천시에 있는 소사치매안심센터에서는 인지장애 어르신들에게 텃밭을 제공한다. 어르신들은 파종과 지주대 끈매기, 농작물 수확 등 농사는 물론, 수확한 농작물로는 샌드위치나 장아찌를 만들거나 김장을 담그기도 한다.

보건복지부와 농촌진흥청이 '치유농업'을 적극 도입·확대하기 위해 17일 업무협약을 맺었다. 전혀 이질적인 정부 산하기관이 같은 목적으로 손을 잡은 것은 업무의 융복합이라는 점에서 매우 흥미로운 사례다. 목적은 어르신들의 치매 예방과 인지력 강화, 그리고 가족들의 마음 치유를 돕는 것이다. 원예‧동물‧곤충 등과 관련된 농업활동과 농촌의 자원, 환경을 이용해 어르신과 가족의 삶의 질을 높인다는 개념이다.

치유농업은 이미 해외에서 활성화돼 있다.

네델란드는 치유농업을 건강보험제도와 연계해 운영하고 있다. 노르웨이, 벨기에, 영국 등은 국가나 지방정부에서 보조금을 지급하며 치유농업의 활성화를 도모한다.

특히 네델란드는 1999년부터 치유농장주의 권익보호를 위한 치유농장주협회를 운영하고 있다. 이들은 ‘케어팜’ 운영을 통해 건강한 지역생산품을 생산하고, 힐링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한다. 케어팜은 전국 1100개나 되고, 생산량은 전 농업분야의 19%에 이른다.

흥미로운 것은 건강보험과 연계해 치유농업을 전국민에게 개방하고, 치유농장 이용고객에 분석결과를 서비스한다는 점이다. 이곳 치유농장의 소득은 농가당 평균 1억 원 이상이라는 통계도 있다.

치유농업의 건강효과도 뚜렷하다. 농촌진흥청의 자료에 따르면 치유농업 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르신의 안정 및 이완감은 42.2% 증가한 반면, 긴장과 스트레스는 21.7%가 감소했다. 치유농업 활동 전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리티솔은 28%가 줄어드는 효과를 보였다. 또 곤충(왕귀뚜라미) 사육을 이용한 활동에서도 우울감은 개선되고, 인지기능은 개선되는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현재 국내에선 2017년 9월부터 지역마다 치매안심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상담이나 조기검진, 실내에서 인지강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정도에 그친다. 치매안심센터는 2019년 말 기준 전국 256개 보건소에서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농촌진흥청과의 협약으로 치유농업이 활성화되면 농업인 소득원 개발은 물론 어르신 및 가족의 정서적 안정과 치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앞서 정부는 올 3월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 공포로 농촌진흥청이 치유농업 관련 지휘본부로 자리매김하는 체계도 구축했다.

보건복지부 곽숙영 노인정책관은 “어르신이 답답한 집안에서 벗어나 활동을 재개하면 쇠약해진 정신·신체가 크게 개선된다”며 “치유농업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가능해 코로나19 시대에 가장 적합한 건강활동이면서 의료비를 절감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