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0.11.19 13:55

홍남기 "추경 등으로 보완했으나 분배 악화 막는데 역부족…코로나 확진 늘면서 4분기도 안심 못 해"

(자료제공=통계청)
(자료제공=통계청)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1분위(하위 20%) 소득이 전년보다 감소한 가운데 5분위(상위 20%) 소득은 증가하면서 3분기 분배지표가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19일 발표한 ‘2020년 3분기 가계동향’에 따르면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30만5000원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영향으로 근로·사업소득이 감소했으나 정부의 이전소득이 증가하면서 총소득은 전년 대비 1.6% 늘었다.

소득항목별로는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은 1년 전보다 각각 1.1%, 1.0% 감소했다. 코로나19에 따른 고용감소로 근로소득이 줄어든 가운데 업황부진으로 사업소득도 악화됐다. 재산소득은 18.5% 늘었다. 이전소득은 17.1% 대폭 증가했다. 이전소득의 경우 공적이전소득은 29.5% 늘었으나 사적이전소득은 4.3% 줄었다. 경조소득 및 실비보험 탄 금액 등 비경상적 수입인 비경상소득은 33.3% 증가했다.

분위별로 살펴보면 1, 2분위 소득은 줄었으나 나머지 분위 소득은 늘었다.

1분위 월평균 소득은 163만7000원으로 1년 전보다 1.1% 감소했다. 1분위는 이전소득이 9.6% 증가했으나 취업자 감소에 따른 근로소득 감소(-10.7%) 등 영향으로 총소득이 줄었다. 임시·일용직 중심 취업자 감소 등으로 근로소득이 큰 폭 줄고 음식·숙박업 등 업황부진 영향으로 사업소득도 악화됐다. 다만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소상공인새희망자금 등에 힘입어 공적이전소득(15.8%)은 크게 늘었다.

반면 5분위 소득은 1039만7000원으로 2.9% 증가했다. 근로소득이 0.6% 줄었으나 사업·이전소득이 각각 5.4%, 24.1% 늘면서 총소득도 증가했다. 고용둔화로 근로소득이 감소했으나 대규모 사업장(300인 이상) 및 상용직 취업자 증가 영향으로 다른 분위보다 상대적으로 양호했다. 이에 소득격차를 의미하는 5분위 배율은 4.88배로 전년동기 대비 0.22배포인트 증가해 분배가 악화됐다.

이외에도 2분위 소득은 337만6000원으로 1.3% 줄었다. 3분위 소득은 473만1000원, 4분위 소득은 638만1000원으로 각각 0.1%, 2.8% 늘었다.

또 3분기 가계지출은 398만9000원으로 2.2% 감소했다. 소비지출은 294만5000원으로 1.4%, 비소비지출은 104만4000원으로 4.6% 각각 줄었다. 코로나 영향으로 식료품‧비주류음료(18.7%), 가정용품·가사서비스(19.8%), 보건(12.8%) 등은 증가했으나 교통(-12.4%), 오락‧문화(-28.1%), 교육(-13.6%) 등은 감소했다.

가계수지를 살펴보면 3분기 처분가능소득은 426만1000원으로 3.2% 늘었다. 흑자액은 131만6000원으로 15.3% 증가했다. 평균소비성향은 69.1%로 3.2%포인트 하락했다.

(자료제공=통계청)
(자료제공=통계청)

한편, 홍남기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이날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3분기에도 코로나 영향으로 근로소득(-1.1%), 사업소득(-1.0%) 등 시장소득은 감소했다”며 “이를 4차 추경 등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대응(공적이전소득 29.5% 증가)으로 보완했지만 임시·일용직 근로자, 소상공인 등 저소득층의 피해가 상대적으로 커 정부의 재정지원만으로 소득분배 악화를 막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코로나 확진자가 다시 급증하고 있어 4분기 소득분배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정부는 현 상황에 대한 엄중한 인식을 바탕으로 코로나 위기가 분배 악화로 귀결되지 않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또 “전반적으로 민간경제가 회복과 활력을 찾아가도록 적극 지원하는 가운데 위기가구 긴급생계지원 등을 통한 취약계층 보호, 고용유지지원금 기간연장 및 직접일자리사업 추진 등을 통한 일자리 보호 등에 각별히 대응하겠다”며 “일자리·취약계층 예산 등 4분기 재정집행도 꼼꼼히 챙기면서 국회에서 심의 중인 내년도 관련 예산의 확보와 집행준비도 철저히 이루어지도록 진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정부는 현 소득·분배 상황에 대한 엄중한 인식을 바탕으로 고용·사회안전망을 확충하고 시장소득 회복을 지원하는 등 적극적 정책대응을 지속 강화하기로 했다. 우선 4분기 재정집행에 만전을 기하면서 내년도 일자리․취약계층 지원 예산 등이 신속 집행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키로 했다.

또 위기가구 긴급생계지원, 소상공인 새희망자금 등을 신속하게 집행해 코로나로 생계유지에 어려움을 겪는 취약계층 보호하고 특고·프리랜서 등에 대한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지급, 고용유지지원금 기간 연장(60일, 180→240일), 직접일자리 사업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할 계획이다. 직접일자리 사업은 공공부문 비대면·디지털 일자리(11만5000명), 취약계층 공공일자리(30만명), 청년디지털 일자리(6만명), 청년일경험 지원(5만명), 중소·중견기업 채용보조금(5만명) 등이다.

이외에도 소비·투자 등 내수활력을 보완하고 ‘한국판 뉴딜’을 적극 추진해 조속한 경기회복과 일자리 창출·안정에 총력을 기울이면서 전국민 고용보험 등 안전망 확충에도 더욱 속도를 낸다. 내달 중순 발표 예정인 내년도 경제정책방향에도 고용·사회안전망 강화, 시장소득 개선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충실히 반영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